스포츠뉴스

‘강원 동화→인천 승격 영웅’ 윤정환, 진정한 명장 반열로…韓지도자 최초 J리그+K리그 우승 역사 [인천 K리그2 우승]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토도사뉴스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6

본문

K리그2 인천 유나이티드의 우승을 이끈 윤정환 감독. 사진 | 한국프로축구연맹


사진 | 한국프로축구연맹


[스포츠서울 | 인천=김용일 기자] 이젠 K리그에서도 ‘명장’ 반열에 올랐다. K리그2 인천 유나이티드의 조기 우승을 지휘한 윤정환 감독은 한국인 지도자로는 처음으로 일본 J리그에 이어 한국에서도 프로 지도자로 우승컵을 들어올리는 새 역사를 썼다.

윤정환 감독이 지휘하는 인천은 26일 인천축구전용경기장에서 열린 ‘하나은행 K리그2 2025’ 36라운드 경남FC와 홈경기에서 제르소~무고사~바로우의 연속포를 앞세워 3-0 완승했다. 승점 77(23승8무5패)을 확보한 인천은 2위 수원 삼성(승점 67)과 격차를 다시 10점으로 벌렸다. 잔여 3경기 결과와 관계없이 우승을 확정, 차기 시즌을 K리그1에서 보내게 됐다. 2부 강등 이후 한 시즌 만에 1부로 승격한 역대 6번째 팀이 됐다.

인천이 재기에 성공한 데엔 윤 감독의 지도력을 빼놓을 수 없다. 현역 시절 ‘꾀돌이’라는 별명으로 국가대표팀 2선 핵심 자원으로 활약한 윤 감독은 현역 마지막 클럽이던 J리그 사간도스에서 2008년 수석코치로 변신하며 지도자로 데뷔했다. 그리고 2011년 사간도스 정식 감독 첫해 팀 1부 승격을 이끌었다. 이듬해 선두까지 치고나가는 등 일본에서 ‘오니(귀신)’로 불리며 승승장구했다.

사진 | 한국프로축구연맹


2024시즌 K리그1 감독상을 수상한 윤정환 감독. 최승섭기자 thunder@sportsseoul.com


그러다가 2015년 울산HD(당시 울산 현대) 지휘봉을 잡으며 K리그 사령탑으로 첫 발을 내디뎠다. 국내에서 첫 도전이었는데 산전수전을 겪었다. 2004년 전북 현대에서 뛰던 시절 이후 10년 만에 K리그를 경험하면서 선수 파악 등에 어려움이 따랐다. 지도 방식도 일본과 국내 문화를 달랐다. 부임 첫해 정규리그 하위 스플릿으로 밀려났다. 이듬해 4위를 차지했으나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고심 끝에 세레소 오사카의 러브콜을 받고 J리그로 유턴했다. ‘전화위복’이 됐다. 세레소는 윤 감독이 2000~2002년 주전 미드필더로 뛴 팀이다. 팀 문화를 잘 알아 적응에 수월했다. 2017년 2부에서 1부로 승격한 세레소를 이끌며 컵대회와 일왕배를 석권, 더블(2관왕)을 달성했다. 그해 J리그 올해의 감독상을 받았다. 리그에서도 3위를 차지했다.

주가를 높인 그는 J2리그 제프 유나이티드 사령탑을 거쳐 2023년 여름 강등권에 허덕인 강원의 소방수로 부임했다. K리그 사령탑으로 두 번의 실패는 없었다. 첫해 강원의 1부 잔류를 이끈 데 이어 지난시즌 공격 지향적 색채로 탈바꿈, 구단 역사상 최고 성적인 준우승을 이끌었다. 시도민구단의 열악한 환경에도 18세 영건 양민혁을 발굴하고, 황문기 이기혁 이유현 등 주요 선수의 포지션 변화를 통해 호성적을 냈다. ‘K리그판 레스터시티’로 부를 정도로 동화 같은 시즌이었다. 윤 감독은 준우승 팀 감독임에도 K리그1 감독상 영예를 안으며 지도력을 인정받았다.

사진 | 한국프로축구연맹


윤 감독은 강원과 계약 기간이 끝난 뒤 여러 팀과 연결됐는데 사상 첫 강등 악몽에 시달린 인천의 러브콜을 받았다. 일본을 넘어 강원에서 성공하기까지 스스로 쌓은 노하우를 유감없이 발휘했다. 이호 수석코치를 비롯해 코치진과 선진적인 분업화가 기본이었다. 선수단 운용에서는 바로우, 무고사, 제르소 등 특급 외인 공격수의 역량을 극대화하는 것 뿐 아니라 시즌 초반 박경섭, 김건희, 최승구처럼 젊은 피도 적극적으로 실험하며 스쿼드의 힘을 넓혔다. 지난여름 무더위 레이스에서 무고사 등 30대 노장이 컨디션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9월 단 1승(1무2패)에 그치며 2위 수원 삼성의 추격에 긴장했지만 인천의 ‘준비된 힘’을 막판 다시 발휘됐다. 윤 감독은 신진호를 최전방에 두고 박승호와 시너지를 끌어내는 등 유연한 전술 운용으로 10월 다시 반등에 성공했다. 인천은 이번 시즌 단 한 번도 연패가 없을 정도로 위기 관리 능력이 뛰어났다.

결국 지난 4월13일 충북청주와 7라운드 2-1 승리 이후 리그 선두에 처음 오른 인천은 이날 36라운드까지 자리를 내주지 않았다. 6개월 넘게 1위를 유지했다. 코치진의 지도력 뿐 아니라 무고사처럼 지난시즌 강등에도 팀에 남아 헌신한 핵심 선수의 간절함이 어우러진 결과물이다.

윤 감독은 이처럼 인천의 재건을 이끌며 지도자로 더 높은 곳을 바라보게 됐다.

kyi0486@sportsseoul.com

원문: 바로가기 (Daum)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프리미엄 광고 ⭐
유료 광고
Total 20,102 / 2 Page
번호
제목
이름
Member Ra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