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뉴스

‘보름 만에 11㎞ 폭락’ 한화 충격에 빠뜨린 이 선수… 이미 다 불태웠다, 대표팀 차출 괜찮을까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토도사뉴스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12

본문

▲ 포스트시즌 일정에서 부하가 컸던 문동주는 뚜렷한 체력 저하 양상을 보여줬다 ⓒ곽혜미 기자

[스포티비뉴스=김태우 기자] 10월 31일 대전한화생명볼파크에서 열린 LG와 한화의 한국시리즈 5차전 당시, 많은 야구 팬들은 1회부터 충격적인 장면을 지켜봐야 했다. 바로 한화 선발로 나선 문동주(22·한화)가 자신의 공을 던지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문동주는 KBO리그를 대표하는 파이어볼러다. 시속 160㎞의 벽을 깬, KBO리그 최초의 한국 선수이기도 하다. 올해도 시속 150㎞대 중·후반의 빠른 공, 그리고 여기에 더 예리해진 포크볼과 커브를 앞세워 ‘고점’의 문동주가 얼마나 무서운 재능인지를 잘 보여줬다. 지속성 측면에서 물음표가 있기는 하지만 이는 시간이 해결해 줄 문제로 생각했다.

그런데 그런 문동주의 패스트볼 구속이 시속 150㎞조차 넘기지 못하고 있었다. 심지어 140㎞대 초반의 패스트볼도 보였다. 변형 패스트볼을 던지지 않는 문동주임을 고려하면, 분명 이는 이상징후였다. 한화 벤치도 움직였다. 1회 중간 양상문 투수코치가 마운드에 올라 문동주의 상태를 점검했고, 1회가 끝난 뒤 정우주로 교체했다. 한화 더그아웃에서 봐도 문동주는 정상이 아님을 인정한 것이다.

다행히 부상은 아니었다. 한화 관계자는 교체 후 “특이 사항은 없다”고 했다. 일시적인 컨디션 난조일 수도 있고, 추운 날씨에 구속이 나오지 않았을 수도 있다. 그러나 너무 큰 구속의 저하였다. 당장 이전 포스트시즌 등판만 봐도 그랬다. 모든 정황이 ‘문동주가 지쳤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었다.

▲ 문동주의 패스트볼 구속은 포스트시즌 경기를 거치며 급격하게 낮아졌다 ⓒ곽혜미 기자

삼성과 플레이오프 1차전 당시 문동주의 패스트볼 최고 구속은 시속 161.6㎞를 찍었다. 올해 KBO리그에서 가장 빠른 구속이었다. 불펜에서 나와 2이닝을 던지며 전력 투구를 한 문동주의 이날 패스트볼 평균 구속은 157.0㎞로 대단했다. KBO리그에서는 보기 어려운 수치였다.

이틀을 쉬고 다시 나선 플레이오프 3차전에서는 4이닝을 던지며 구속이 조금 떨어졌다. 이날 최고 구속은 157.4㎞, 평균은 153.2㎞였다. 다만 이것도 분명 빠른 구속이었고, 선발에 준하는 이닝을 던졌음을 고려하면 예상 가능한 범주에 있었다.

그런데 나흘을 쉬고 나선 LG와 한국시리즈 1차전에서는 최고 구속이 153.7㎞, 평균이 151.4㎞를 기록했다. 이는 문동주의 시즌 평균을 한참 하회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운명의 한국시리즈 5차전에서는 최고 149.9㎞, 평균 145.8㎞에 그쳤다. 뭔가 문제가 있었고, 괜히 던지다가 부상 위험이 오면 낭패였다. 문동주의 능력을 100% 발휘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계속 둬봐야 경기 양상만 어려워질 수도 있었다. 한화 벤치의 교체는 타당했다.

▲ 충분한 휴식 없이 대표팀 일정에 참가해야 하는 문동주 ⓒ곽혜미 기자

부상은 아니지만 지친 몸과 마음을 이끌고 다시 일어서야 하는 문동주다. 11월 K-베이스볼 시리즈에 참가할 국가대표팀 명단에 포함됐기 때문이다. 내년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에서 명예 회복을 노리는 대표팀은 11월 8일과 9일에는 고척돔에서 체코와, 11월 15일과 16일에는 도쿄돔에서 일본과 친선 경기를 가진다. 총 4경기다.

한국시리즈를 치른 LG와 한화 선수들만 4일에 합류하고, 나머지 선수들은 2일부터 훈련을 시작했다. 문동주도 4일 대표팀에 합류할 예정이다. 지친 상황에서 대표팀 일정이 이어지다보니 부상에 대한 우려는 커질 수밖에 없다. 포스트시즌에 나간 다른 선수들과 비교해도 그렇다. SSG나 삼성 선수들은 꽤 휴식을 가지고 대표팀에 합류했다. LG 선수들은 한국시리즈 이전 많이 쉬어서 채력 부담이 아주 큰 편은 아니다. 그러나 문동주는 다르다.

물론 대표팀 소집 투수들이 많아 한 선수가 많은 이닝을 소화하는 건 아니다. 4경기 동안 여러 선수들을 모두 실험하는 양상이 될 가능성이 크다. 문동주는 선발 자원이지만 나간다고 해도 많은 이닝을 던지지는 않을 것이다. 대표팀 코칭스태프도 사정을 다 고려해 적절한 이닝 소화량을 찾아줄 전망이다. 일단 경험도 경험이고, 활약도 활약이지만 등판 전후로 지친 상황에서 찾아올 수 있는 부상 위험을 최대한 방지하는 게 중요해졌다.

▲ 대표팀의 차세대 에이스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문동주 ⓒ곽혜미 기자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문: 바로가기 (Daum)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프리미엄 광고 ⭐
PREMIUM 초고속티비
PREMIUM 붐붐의민족
PREMIUM 픽인사이드
PREMIUM 먹튀데이
PREMIUM 꽁데이
유료 광고
Total 21,422 / 15 Page
번호
제목
이름
Member Ra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