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특급 안정감' MLB 신기록 쓴 '우'완 에이스가 돌아온다…지친 SEA 마운드에 천군만마, 창단 첫 '정상 도전' 이끌까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토도사뉴스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11
본문
[SPORTALKOREA] 한휘 기자= 메이저리그(MLB) 신기록을 쓴 시애틀 매리너스의 '우'완 에이스가 팀의 월드 시리즈 진출을 이끌까.
시애틀 브라이언 우는 13일(이하 한국시각)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의 로저스 센터에서 시작되는 2025 MLB 아메리칸리그 챔피언십 시리즈(ALCS) 로스터에 이름을 올렸다.
우는 지난 9월 20일 휴스턴 애스트로스전 등판을 끝으로 마운드에 서지 않았다. 이 경기 도중 가슴 근육에 통증을 느껴 교체됐고, 이후 정규시즌 내내 등판 없이 휴식을 취했다. 심지어 AL 디비전 시리즈(ALDS) 로스터에서도 제외됐다.
시애틀 입장에서는 다행스럽게도 우가 없는 와중에도 디트로이트 타이거스를 시리즈 전적 3승 2패로 꺾었다. ALCS에 다다름과 동시에 우가 로스터에 돌아왔다. 내야수 벤 윌리엄슨이 자리를 만들기 위해 제외됐다.
우는 할아버지가 중국 태생 이민자인 화교 3세 야구선수다. 2021 MLB 신인드래프트 5라운드에서 시애틀의 지명을 받았고, 2023년 빅리그에 데뷔했다. 지난해 부상 탓에 22경기 등판에 그치긴 했어도 평균자책점 2.89로 호투하며 기량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올해 잠재력이 만개했다. 정규시즌 30경기 186⅔이닝을 던지며 15승 7패 평균자책점 2.94 198탈삼진이라는 호투로 팀의 에이스 노릇을 했다. 다승 4위, 평균자책점과 탈삼진 5위 등 빼어난 성과를 남겼다.
특히나 볼넷 허용이 시즌 내내 단 36개에 불과할 정도로 적었다. 9이닝당 볼넷 수치로 환산하면 단 1.74개로, AL 사이 영 상 유력 후보인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타릭 스쿠발(1.52개) 다음으로 적다. WHIP(이닝당 출루 허용)도 0.93으로 AL 3위다.
이런 선수가 피안타율도 0.198로 낮다. 덕분에 등판마다 계산이 선다. 그 결과 3월 31일 시즌 첫 등판부터 8월 23일 애슬레틱스전까지 무려 25경기 연속으로 6이닝 이상 소화하는 진기록을 세웠다. 이는 시애틀 구단 역대 4위에 해당한다.
그 과정에서 MLB 신기록도 세웠다. 우는 연속으로 6이닝 이상 던진 25경기에서 단 한 번도 볼넷을 3개 이상 내준 적이 없다. 이는 1968년 후안 마리샬(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이 달성한 '23경기 연속 2볼넷 이하' 기록을 넘어선 것이다.
불과 25세에 불과한 프로 3년 차 선수가 이런 성과를 냈다. AL 올스타에도 선정됐다. 그런 선수가 시즌 막바지에 입은 부상으로 ALDS 로스터에서 제외됐다. 시애틀에 어마어마한 타격이었다.
그나마 ALCS 진출에는 성공했지만,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패승승패승'으로 디트로이트와 치열하게 합을 주고받았다. 특히 1차전부터 연장 승부를 간 데 이어 마지막 5차전은 무려 4시간 58분의 혈투 끝에 연장 15회까지 가서야 결판이 났다.
그 과정에서 투수 소모도 컸다. 선발 투수 조지 커비를 시작으로 7명의 선수가 나섰는데, 선발 투수인 로건 길버트와 루이스 카스티요도 출전했다. ALCS에서 선발로 나서기 전에 리듬이 깨질 우려가 있다.
다행히 우가 돌아오면서 한시름 덜 것으로 보인다. 우가 정규시즌의 모습 그대로 안정적인 이닝 소화력을 과시한다면, 여러 번의 '혈전'으로 지친 마운드가 숨을 돌릴 틈을 만들어 줄 것이다.
시애틀은 1977년 창단 이래 한 번도 월드 시리즈 무대를 밟지 못했다. 정규시즌 116승이라는 어마어마한 기록을 남긴 2001시즌에도 ALCS 문턱에 걸려 넘어졌다. 과연 돌아온 에이스와 함께 그 아쉬움을 털고 '숙원 사업'을 완수할 수 있을까.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관련자료
-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