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월드컵 탈락 0-2 완패…16강 진출 실패 ‘죽음의 조’ 뚫었더니→축구종가 잉글랜드 ‘U-17 아쉬운 극악 대진운’ 日 남아공 꺾고 16강 진출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토도사뉴스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8
본문


[스포티비뉴스=박대성 기자] 한국이 극악 대진운에 무릎 꿇었다. 조별리그를 무패로 뚫고 한 걸음을 더 바라봤지만 32강에서 세계 무대 레이스를 종료하게 됐다.
백기태 감독이 이끄는 한국 17세 이하(U-17) 남자 축구대표팀은 15일(한국시간) 카타르 도하 아스파이어 존 피치8에서 열린 ‘국제축구연맹(FIFA) U-17 월드컵 카타르 2025’ 32강전에서 잉글랜드에 0-2로 졌다.
한국은 조별리그 F조를 2승 1무, 무패 행진으로 마치고도 손쉬운 대진을 받지 못했다. 마찬가지로 조 2위로 올라온 ‘축구 종가’ 잉글랜드와 일찌감치 토너먼트에서 부딪히는 악재를 피하지 못했다. 역대 최고 성적인 8강(1987, 2009, 2019년) 재도전은 또 한 번 다음 기회로 미뤄졌다. 잉글랜드전 상대 전적 역시 3무3패로 승리가 없는 열세를 이어가게 됐다.
이번 대회는 여러모로 새로운 도전의 무대였다. 그동안 격년제로 24개국이 참가하던 U-17 월드컵은 올해부터 2029년까지 매년 개최되며, 본선 출전국도 48개로 크게 늘었다. 4개 팀씩 12개 조로 나뉘어 조별리그를 치른 뒤 각 조 1·2위 24개 팀과 3위 팀 중 성적이 좋은 8개 팀이 더해져 32강 토너먼트를 치르는 방식이다. 한국은 멕시코를 2-1로 꺾고, 스위스와 0-0으로 비긴 뒤 코트디부아르를 3-1로 제압하며 승점 7점을 쌓았지만, 득실에서 스위스에 밀려 조 2위에 머물렀다. 2019년 이후 6년 만에 토너먼트 진출, 2015년 이후 10년 만의 조별리그 무패 통과라는 의미 있는 성과였지만, 정작 토너먼트 대진표는 한국에 가장 까다로운 상대를 안겼다.

잉글랜드는 이번 대회 우승 후보 중 하나로 꼽히는 강팀이다. 2017년 U-17 월드컵을 제패한 경험이 있다. 세계 축구를 주도하는 프리미어리그 산하 유스팀이 대부분이라 객관적인 전력에서도 ‘우승 후보’급이다.
조별리그 첫 경기에서 베네수엘라에 0-3으로 완패하며 흔들리는 듯했지만, 이후 아이티를 8-1로 대파하고 이집트를 3-0으로 꺾었다. 조별리그 두 경기에서만 11골을 몰아치며 화력을 과시했다. 한국 입장에선 토너먼트 첫 걸음인 32강에서 잉글랜드를 만난 것 자체가 운명의 장난이었다.
백기태 감독은 잉글랜드를 상대로도 물러서지 않는 축구를 선택했다. 김지성(수원삼성 U18)과 남이안(울산 HD U18)을 투톱으로 세우고, 2선에 김도연(대전하나시티즌 U18), 박현수, 김도민(이상 울산 U18), 김예건(전북현대 U18)을 배치하는 공격적인 4-4-2 전형을 들고 나왔다. 포백은 김민찬(울산 U18), 구현빈(인천 U18), 정희섭(전북 U18), 임예찬(인천 U18)이 지켰고, 골문은 박도훈(대구FC U18)이 지켰다. 잉글랜드 역시 4-3-3을 기반으로 레이건 헤스키, 치자람 에젠와타, 브래들리 버로우스 등 프리미어리그 유망주들을 전면에 내세우며 맞불을 놨다.
경기 초반 흐름은 오히려 한국 쪽으로 기울었다. 킥오프 1분도 채 지나지 않은 전반 1분, 김도연이 상대 수비와의 몸싸움에서 이겨내며 페널티 아크 부근에서 왼발 슈팅을 날려 골망을 흔들었다. 그러나 주심이 몸싸움 과정에서의 반칙을 선언하며 득점은 취소됐다. 이어 전반 3분에는 오른쪽 측면에서 김예건의 크로스를 받은 김도연(또는 김도현)이 페널티지역 정면에서 다시 한 번 슈팅을 시도했지만 크로스바를 넘어가며 선제골 기회를 살리지 못했다. 만약 이른 시간 선제골이 인정됐다면, 경기 양상 자체가 달라질 수 있었던 장면이었다.

위기를 넘긴 잉글랜드는 곧바로 반격에 나섰다. 전반 20분 루카 윌리엄스 바넷의 중거리 슈팅을 박도훈이 막아냈고, 24분에는 레이건 헤스키의 강력한 슈팅을 다시 한 번 슈퍼 세이브로 차단하며 골문을 지켰다. 한국도 전방에서 남이안이 상대 수비를 등지고 버텨내며 슈팅을 만드는 등 맞불을 놓았지만, 마지막 세밀함이 부족했다. 팽팽했던 균형은 아쉬운 장면 하나로 깨졌다. 전반 28분, 오른쪽 측면을 돌파한 세스 리전의 낮은 크로스가 수비수 정희섭의 몸에 맞고 굴절돼 그대로 골문 안으로 들어가는 자책골이 나온 것이다. 준비된 세트플레이도, 압도적인 개인기에 의한 슈팅도 아닌 ‘불운’이 선제 실점으로 이어지는 순간이었다.
실점 이후 흐름은 급격히 잉글랜드 쪽으로 기울었다. 한국 수비는 잠시 흔들렸고, 잉글랜드는 이를 놓치지 않았다. 전반 35분 오른쪽 측면에서 브래들리 버로우스가 올린 크로스를 레이건 헤스키가 골 지역 왼쪽에서 헤딩으로 연결해 추가골을 만들어냈다. 점프 타이밍과 위치 선정, 헤딩 각도가 완벽하게 맞아떨어졌다. 과거 잉글랜드 국가대표 공격수로 한 시대를 풍미했던 에밀 헤스키의 둘째 아들로 알려진 레이건 헤스키는 이 한 방으로 아버지의 이름에 걸맞은 결정을 보여줬다. 한국 입장에서는 10분 사이 두 골을 내주며 너무 쉽게 경기를 내준 것이나 다름없는 흐름이었다.
전반 막판 한국은 김도민의 과감한 중거리 슛 등으로 만회골을 노렸지만, 골대 안으로 향하는 슈팅은 끝내 나오지 않았다. 전반 45분 동안 한국은 4개의 슈팅을 기록했으나 유효슈팅은 0개에 그쳤다. 골을 넣을 수 있었던 초반 기회를 놓친 대가가, 자책골과 집중력 저하로 윤곽을 드러낸 셈이다.
백기태 감독은 후반 시작과 함께 승부수를 던졌다. 남이안과 김도연을 빼고 김지우(개성고)와 정현웅(오산고)을 투입하며 공격진에 변화를 주고, 측면과 뒷공간을 보다 적극적으로 공략하려 했다. 후반 27분에는 김예건 대신 김은성을 투입해 세트피스와 문전 압박에서 새로운 변수를 만들고자 했다. 잉글랜드는 후반에도 볼 점유율을 바탕으로 침착하게 경기를 운영하며 한국의 반격을 차단했고, 빠른 전환과 측면 돌파로 한국 수비 라인을 계속 흔들었다.

후반 막판 한국의 마지막 저항도 이어졌다. 후반 41분 코너킥 상황에서 올라간 볼이 그대로 잉글랜드 골문으로 빨려 들어가는 듯했지만, 골키퍼 잭 포터(아스널 U18)가 가까스로 펀칭하며 실점을 막았다. 후반 추가 시간 6분 동안 한국은 측면 크로스와 롱볼을 통해 집요하게 잉글랜드 골문을 두드렸지만, 끝내 골망은 열리지 않았다. 경기는 추가 득점 없이 2-0 잉글랜드의 승리로 종료됐고, 한국의 여정도 그 순간 멈춰 섰다.
이번 대회에서 한국은 분명 희망도 보여줬다. 멕시코, 코트디부아르, 스위스와의 조별리그 3경기에서 조직력과 공격력을 동시에 증명하며 2승 1무를 기록했고, 2019년 이후 6년 만에 토너먼트 무대에 복귀하는 성과도 냈다. 잉글랜드를 상대로도 경기 초반 흐름을 주도하며 골망을 흔들었고, 유럽 강호를 상대로 맞불을 놓을 수 있다는 자신감을 확인했다. 그러나 유럽 정상급 유망주들로 구성된 잉글랜드의 벽은 높았고, 자책골과 순간적인 집중력 저하, 그리고 골 결정력 부족이 뼈아픈 차이로 남았다.
일본은 남아공을 3-0으로 꺾고, 북한은 베네수엘라를 2-1로 제압하며 16강에 올라갔다. 극악한 대진운 속에서 멈춰 선 U-17 대표팀의 도전은 분명 아쉽다.
하지만 확장된 U-17 월드컵 체제에서 한국이 조별리그 무패와 32강 진출이라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은 분명 의미 있는 출발이다. 8강의 벽을 다시 넘기 위해서는, 이번 잉글랜드전에서 드러난 수비 집중력·결정력·멘털 관리 등 세부 과제들을 얼마나 빠르게 보완하느냐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U-17에서의 경험은 곧 U-20, 올림픽, A대표팀으로 이어질 자산이다. 비록 눈물로 끝난 카타르에서의 여정이었지만, 이 쓰라린 패배가 다음 세대 한국 축구의 성장통이자 발판이 될지 지켜볼 일이다.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자료
-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