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명보는 어려웠고 신태용은 만만했다…추락한 왕조 울산HD의 민낯 드러낸 ‘골프 세리머니’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토도사뉴스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7
본문
‘K리그 호랑이’ 홍명보와 달리
국내 기반 약한 김판곤·신태용
감독 건너뛰고 구단과 직접 소통
‘3연패 왕조 공신들’에 밀려 하차
리빌딩 실패…성적도 팬심도 ↓
감독에 전권 맡기고 명가재건
전북 사례 반면교사 삼아야
더 늦기전 대대적 체질 개선을
프로축구 울산 HD가 신태용 감독을 부임 65일 만에 경질한 이후 K리그 초유의 하극상이 수면 위로 드러났다. 지난 18일 광주FC전에서 이청용(37·울산)이 페널티킥 골을 넣은 뒤 골프 클럽을 휘두르는 세리머니로 전임 감독을 조롱한 추태는 조직 체계가 완전히 무너진 울산의 실체를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K리그 3연패를 달성하며 왕조를 구축했던 울산이 불과 1년 만에 이처럼 추락한 근본적 원인은 명확하다. 구단이 리빌딩 방향을 확립하지 않은 채 감독만 교체했고, 선임 후에도 권한을 집중시키지 않아 컨트롤 타워가 무너졌다. 우승 후 순차적인 정리 없이 그대로 스쿼드를 유지하면서 고참들에게 권력이 생겼다. 감독을 건너뛰고 구단 고위층과 직접 소통하는 비정상적 구조가 굳어졌고, K리그에서 네트워크가 부족한 김판곤·신태용 감독은 선수단 제어에 실패했다.
울산이 2022~2024년 3연패를 달성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홍명보 감독의 확고한 권위가 있었다. 홍 감독은 선수 시절 2002년 월드컵 4강 신화의 주역이자 지도자로서는 2012년 런던올림픽 동메달을 이끌어 K리그에서는 누구도 넘볼 수 없는 명성을 쌓았다. 그는 2017년부터 2020년까지 대한축구협회 전무이사를 지내며 행정가의 면모까지 갖췄다.
홍 감독은 2024시즌을 앞두고 이청용을 전력 외 자원으로 통보했다. 김광국 전 울산 대표는 우승 직후 인터뷰에서 “감독은 이청용을 통해 선수단에 강한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이 과정에서 외부로 드러난 선수단의 반발은 없었다. 홍 감독의 권위 앞에서 어떤 불만도 밖으로 새어 나갈 수 없었다.
김판곤과 신태용 감독 체제에서는 상황이 달랐다. 각각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대표팀에서 성과를 냈지만 K리그 네트워크가 부족한 두 감독은 홍 감독 시절 확립된 권위를 이어받지 못했다. 노장 선수들이 구단과 직접 소통하는 비정상적 구조는 더욱 공고해졌다. | 관련기사 2면
정반대의 사례가 전북 현대다. 지난해 10위로 추락했던 전북은 거스 포옛 감독에게 명확한 컨트롤 타워 역할을 부여하며 올해 우승의 반전을 이뤘다. 포옛 감독은 부임 직후 코칭스태프 구성에 전권을 요구했고, 구단은 이를 수용했다. 감독과 선수 간 심리적 유대를 강조하며 조직 전체가 일체감을 형성했다.
그러나 울산 구단은 감독을 무시하는 고참 선수들과 직접 소통했다. 지난 1일 상하이 선화와 아시아 챔피언스리그 엘리트(ACLE) 경기 직후 일부 고참 선수가 구단 고위층과 면담을 통해 “감독과는 더 이상 함께할 수 없다”고 전달하면서 경질이 결정됐다. 신태용 감독이 폭로했다.
울산의 실패는 우승 후 과감한 세대교체를 실행하지 못한 데서 비롯됐다. 우승팀의 노장 선수들은 정리하기 어렵다. 우승에 기여했으니 존재감이 크고, 팬들의 반발을 의식해야 하는 구단은 결정하기 어려워한다. 울산은 이 딜레마를 전혀 극복하지 못했다.
이 지경까지 와버린 울산의 선택지는 명확하다. 우선 구단이 세대교체를 목표로 삼았다면 세부적으로 더 명확한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김대길 본지 해설위원은 “K리그 네트워크가 강하고 선수단을 장악할 네임밸류를 갖춘 감독을 우선 선임해야 한다”면서 “그에게 선수 영입과 방출부터 훈련까지 모든 권한을 집중시켜야 컨트롤 타워 부재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아울러 구단의 역할과 감독의 역할을 명확히 분리해야 한다. 구단은 장기적 정체성을 세우고 선수 영입 정책을 수립한 뒤 감독과 협의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선수들이 감독을 통해 구단으로 의견을 전달하면 구단이 이를 반영하는 정상적 소통 체계를 확립해야 한다. 감독을 건너뛰고 선수들과 소통하며 끌려다니는 구단이야말로 하극상의 출발점이다.
박효재 기자 mann616@kyunghyang.com
원문: 바로가기 (Daum)
관련자료
-
링크
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