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뉴스

‘미스터리 롯데’ 정말로 후반기에 야구를 못 했을까?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토도사뉴스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6

본문


어제(23일) NC와의 경기에서 패하며 6위 롯데와 5위 KT와의 격차는 2.5게임 차로 벌어졌다. 이제 롯데의 남은 경기 수는 단 6경기다.

롯데의 전반기를 생각하면 상상하기 힘든 상황이다. 롯데는 전반기를 승률 0.547, 3위로 마감했다. 하지만 후반기 승률 0.391로 10개 구단 중 9위를 기록했고 가을야구 진출도 불투명해졌다.

■타격 부진과 불펜 과부하?

올 시즌 불펜 혹사 지표



팬들은 극도의 타격 부진과 더불어 김태형 감독의 지나친 불펜 혹사와 어긋난 투수 교체 타이밍 등을 후반기 부진의 이유로 꼽는다.

실제로 롯데는 올 시즌 '2연투 159회, 3연투 26회'로 압도적인 1위를 달리고 있다. 불펜 투수가 1이닝 넘게 던진 멀티 이닝도 125회로 리그 2위다.

롯데의 전후반기 타율과 ERA 차이


재밌는 것은 롯데의 투수진, 특히 불펜 투수진의 평균자책점(ERA)만 살펴보면 전반기보다 후반기에 훨씬 뛰어났다는 것이다.

투수진의 평균자책점 전반기 4.79(9위)에서 후반기 4.47(6위)로 상승했다. 특히, 불펜 평균자책점전반기 4.87(8위)에서 후반기 4.03(3위)으로 눈에 띄게 좋아졌다.

타선이 침묵한 것은 사실이다. 전반기 0.280으로 리그 1위였던 롯데의 팀 타율은 후반기엔 0.251로 9위로 쳐졌다.

종합해 보면 타선은 나빠지고 마운드는 좋아졌다. 사실 플러스마이너스 제로라고 볼 수도 있는데 승률은 추락했다.

■롯데의 야구 실력은 전반기나 후반기나 비슷했다?

롯데으 전·후반기 피타고리안 승률은 큰 차이가 없다.


득점과 실점으로 기대승률을 계산하는 피타고리안 승률(득점^2/득점^2+실점^2)로 롯데의 올 시즌을 살펴보자.

롯데의 올 시즌 실제 승률은 0.492이고 피타고리안 승률은 0.463이다. 이 차이를 설명하는 가장 큰 요소가 '운이라고 가정한다면' 롯데는 운이 좋은 시즌을 보내고 있다.

그런데 전반기와 후반기가 모습이 완전히 다르다. '실제 승률-피타고리안 승률'을 살펴보면 전반기는 +0.078로 엄청나게 운이 좋았고, 후반기는 -0.060으로 엄청나게 운이 나빴다.

그래서 전반기와 후반기의 피타고리안 승률 차이는 0.018에 불과하지만, 실제 승률은 0.156으로 크게 벌어진 것이다.

득점 평균과 실점 평균만 살펴보면 롯데의 야구 실력은 전반기나 후반기나 크게 다르지 않았다.

전·후반기 실제 승률이 완전히 달라진 원인은 접전 상황 승률에서도 읽을 수 있다.

롯데는 후반기 승부처에서 매우 약했다


롯데는 전반기 1점 차 승부에선 승률 0.625, 3점 차 상황에선 승률 0.577로 막강했다. 그런데 후반기엔 1점 차에선 0.385로 후반기에선 0.321로 그야말로 무기력했다.

일반적으로 불펜이 좋은 팀이 접전에서 강한데, 앞서 설명했듯이 롯데 불펜진의 평균자책점은 전반기보다 후반기에 훨씬 좋았다. 조금은 모순되는 상황이다. 선수들의 집중력? 운? 감독의 승부수? 무엇이 문제였을까.

■아직도 팀 내 WAR 1위는 데이비슨

롯데 투수진의 WAR, 아직도 데이비슨이 1위다.


롯데의 전·후반기 승률 차이의 원인을 단정 지어서 얘기하기 힘들다. 야구는 그렇게 단순한 스포츠가 아니다.

다만, 롯데가 만일 가을야구 진출에 실패한다면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로 터커 데이비슨의 방출을 꼽을 수 있다.

롯데 선수 중 올 시즌 대체 선수 대비 승리기여도(WAR)가 가장 높은 선수는 아직도 데이비슨이다. WAR이 누적 지표임은 감안하면 이는 놀라운 수치다.

데이비슨의 마지막 경기는 지난달 6일이었고 시즌은 한 달 반이 넘게 더 진행됐다. 만약, 데이비슨이 남아 있었고 방출 전과 비슷한 퍼포먼스를 유지했다면 WAR은 더욱 높아졌을 것이다.

한마디로 롯데는 올 시즌 팀 내 선수단 중 가장 가치 있는 선수를 방출한 셈이다.

데이비슨이 추가로 올렸을 WAR, 데이비슨의 부재로 생긴 투수진 운용의 어려움, 벨라스케즈의 마이너스 WAR을 생각하면 지금 KT와의 승수 차이는 정반대가 됐을 수도 있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문영규 기자 (youngq@kbs.co.kr)

원문: 바로가기 (Daum)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프리미엄 광고 ⭐
유료 광고
Total 14,522 / 1 Page
번호
제목
이름
Member Ra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