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LPGA 사상 첫 ‘장외 신인왕’ 나오나?…김민솔, 신인상 1위와 단 84점 차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토도사뉴스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12
본문
김민솔(19)은 17일 현재 신인상 포인트 909점을 획득했다. 동갑내기 1위 김시현(993점)보다 84점이 낮고, 또 다른 2006년생인 2위 서지은(852점)보다 57점 높다. 84점은 18일 개막하는 하나금융그룹 챔피언십 한 대회 결과에 따라서도 충분히 뒤집힐 수 있는 점수다.
하지만 신인상 순위표에 그의 이름은 없다. ‘규정 경기수’를 채우지 못했기 때문이다. 신인상은 완료 대회 수의 50% 이상 참가자에게만 순위를 부여한다.
김민솔은 올해 2부(드림투어)에서 뛰다 추천 선수로 나선 8월 BC카드·한경 레이디스컵에서 우승을 차지해 정규투어 시드를 획득했다. 현재까지 ‘고작’ 7개 대회에 나섰다. 이 중에는 2부투어 시절 추천 선수로 나선 3개 경기도 포함돼 있다. 추천 선수로 출전해 받은 상금은 공식 집계에서 제외되지만, 신인상 포인트와 대상 포인트는 추천 선수로 나서도 받을 수 있고 누적 집계도 된다.
올 시즌 예정된 대회는 총 31개다. 23개가 마무리됐고, 김민솔은 그 중 7개 대회에 참가했다. 앞으로 남아있는 대회는 모두 8개. 김민솔이 잔여 대회에 모두 참가한다고 해도 총 15개 대회에 나서게 된다. 즉, 신인왕 수여 기준인 시즌 대회수 31개의 50%(반올림해서 16개)에 딱 1개 대회가 부족하게 된다.
KLPGA 투어 사상 첫 ‘장외 신인왕’ 탄생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당장 올해 적용할 수는 없지만 향후 이 같은 경우를 대비해 ‘김민솔 법’을 만들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주장도 나온다.
KLPGA 투어 신인상은 정회원 중 정규투어(상금순위 인정 대회)에 최초 유자격으로 참가한 선수에게 자격이 주어진다. 단 당해년도 시즌 정규투어 50%(반올림) 이하에 참가할 경우, 그 다음 정규시즌 1시즌 50% 이상을 참가할 때까지 신인상 후보가 될 수 있는 자격이 유지된다. 이는 생애 단 한번만 도전할 수 있는 신인상 부문에서 선수들이 ‘손해’를 보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한 일종의 안전장치 성격도 띈다.
하지만 김민솔 같은 경우는 오히려 이 ‘50% 규정’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 만약 1위를 해도 1위로 대접받을 수 없다는 말이다. “타격왕과 달리 홈런왕에는 규정타석이 적용되지 않는다”며 예외를 두는 ‘김민솔 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는 이유다.
김도헌 기자 dohoney@donga.com
관련자료
-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