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뉴스

'WTA 삼대장으로의 복귀?' 엘레나 리바키나, 생애 첫 WTA 파이널스 우승.. 5위로 시즌 마감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토도사뉴스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5

본문

올해 WTA 왕중왕, 리바키나 / 게티이미지코리아

엘레나 리바키나(카자흐스탄, 6위)가 2025 WTA 파이널스에서 우승했다. WTA 파이널스 세 번째 출전 만에 첫 4강, 첫 결승에 이어 첫 우승까지 맛봤다. 막차로 이번 WTA 파이널스 출전권을 따낸 선수가 결국 최종 우승했다. 이가 시비옹테크(폴란드)를 꺾은 최근 네 번의 대회의 최종 결과는 모두 우승이라는 진기한 기록을 이어갔다. 리바키나는 결승전에서 세계 1위, 아리나 사발렌카(벨라루스)마저 잡아냈다. WTA 삼대장으로의 복귀 가능성을 밝혔다. 반면 사발렌카는 또다시 WTA 파이널스 우승 도전에 실패했다. 유독 WTA 파이널스와는 인연이 없는 아리나 사발렌카다.


리바키나는 8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끝난 WTA 파이널스 결승에서 사발렌카를 6-3 7-6(0)으로 제압했다. 


리바키나는 이번 대회 결승까지 오르는 과정이 매우 좋았다. 대부분의 샷들이 라인 근처에 절묘하게 떨어지며 득점으로 연결되는 과정이 많았다. 리바키나의 상징과도 같은 서브는 여전했는데, 스트로크마저 흠 잡을 데 없었다. 이러한 경기력은 결승전에서도 여전했다.


리바키나는 결승전에서 모든 서브게임을 지켰다. 다섯 번의 브레이크포인트 위기는 모두 지웠다. 1세트 5개, 2세트 8개로 전체 13개의 에이스를 터뜨렸다. 그리고 위너는 무려 36개. 12개에 그친 사발렌카보다 세 배 앞섰다. 화끈한 공격의 사발렌카이지만 이 수식어는 이날만큼은 리바키나의 것이었다.


리바키나는 1세트 3-2에서 결정적인 브레이크에 성공했다. 기어코 버티며 수비해내니 사발렌카의 회심의 스매시가 네트에 직격했다. 그렇게 리바키나가 격차를 벌렸다.


사발렌카는 따라갈 수 없었다. 사발렌카가 딱히 못하지는 않았다. 결승전마다 나오는 새가슴 기질도 이날만큼은 심하지 않았다. 그런데 위너가 됐어야 할 샷들이 리바키나의 촘촘한 수비망에 막혔다. 큰 키와 긴 팔다리를 갖고 있는 리바키나는 넓은 수비 영역으로 사발렌카의 샷들을 무력화시켰다. 이러면서 사발렌카의 실수가 나왔다.


1세트를 가져온 리바키나는 2세트 4-5 상황에서 두 차례 브레이크 위기를 넘겼다. 그리고 이어진 타이브레이크에서 결국 7-0으로 완승을 거뒀다. 사발렌카의 마지막 리턴이 베이스라인을 벗어나자 리바키나는 활짝 웃었다.


리바키나는 2022년 윔블던 우승과 함께 시비옹테크, 사발렌카와 WTA 삼대장으로 불렸다. 하지만 오래가지 못했다. 부상, 질병으로 중도 하차하는 경우가 많았고, 전 코치와의 가스라이팅, 그랜드슬램에서의 성의없는 인터뷰 등과 같은 경기 외적인 이슈가 더 불거졌다. 그 사이 코코 고프(미국)에 삼대장 자리를 내줬으며, 한때 13위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하지만 건강한 리바키나는 언제나 우승후보로 불릴 수 있다는 것을 이 대회에서 증명했다. 리바키나는 이번이 세 번째 WTA 파이널스 도전이었는데, 첫 4강, 첫 결승, 첫 우승을 연이어 맛봤다. 지난 두 번은 모두 조별 예선에서 탈락했었다.


리바키나 이번 대회 // 서브 에이스 수
vs 아니시모바 6-3 6-1  //  7
vs 시비옹테크 3-6 6-1 6-0  //  5
vs 알렉산드로바 6-4 6-4  //  8
vs 페굴라 4-6 6-4 6-3  //  15
vs 사발렌카 6-3 7-6(0)  // 13


리바키나는 이번 대회 조별 예선에서 시비옹테크를 꺾었다. 상대전적은 여전히 5승 6패로 열세이지만, 시비옹테크를 꺾은 최근 네 차례 대회(25 WTA 파이널스, 24 독일 슈투트가르트, 23 이탈리아 로마, 23 미국 인디언웰스)에서는 모두 최종 우승자가 됐다. 시비옹테크를 꺾으면 리바키나가 타이틀을 차지하는 공식은 결국 이번에도 맞았다.


리바키나는 제시카 페굴라(미국)와 자리를 바꿔 이번 시즌을 5위로 마감한다. 5위는 리바키나의 이번 시즌 최고 랭킹이다.


WTA 파이널스는 작년 코코 고프에 이어 올해 리바키나까지 시즌 내내 그다지 인상적이지 않았던 선수들이 결국 최종 우승하는 묘한 현상이 연속됐다. 작년 고프는 그랜드슬램 결승조차 진출하지 못했고, 부진한 시즌을 보내다가 WTA 파이널스에서 우승했었다. 올해 리바키나 역시 마찬가지이다. 리바키나는 이 대회 개막 일주일 전인 10월 26일에서야 WTA 파이널스 출전을 확정했을 정도다. 시즌 내내 그다지 큰 임팩트는 주지 못했었다.

울고난 직후라 눈 주변이 벌건 사발렌카 / 게티이미지코리아

반면 최고의 시즌을 보낸 사발렌카는 이번에도 WTA 파이널스를 차지하지 못했다. 사발렌카는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톱시드를 받았다. 더군다나 올해는 단 한 주도 1위 자리를 빼앗긴 적이 없을 정도로 완벽한 시즌을 보냈다. 가장 강력한 우승후보로 손꼽혔지만 이번에도 사발렌카는 왕중왕전에서는 패하고 말았다.


사발렌카 WTA 파이널스 연도별
2021 : 조별 예선
2022 : 준우승
2023 : 4강
2024 : 4강
2025 : 준우승


2022년부터 올해까지 WTA 파이널스에서 사발렌카를 꺾은 선수들은 모두 우승했다. 22년 결승에서의 캐롤라인 가르시아(프랑스)를 시작으로 23년 4강 시비옹테크, 24년 4강 고프, 25년 결승 리바키나가 그들이다. 어쩌면 사발렌카야말로 진정한 WTA 파이널스 퀸 메이커일지도 모른다.


한편 복식에서는 베로니카 쿠데르메토바(러시아)-엘리제 메르텐스(벨기에) 조가 우승했다. 2022년 이후 3년 만에 WTA 파이널스 우승 복귀다.


[기사제보 tennis@tennis.co.kr]

▶ 테니스코리아 쇼핑몰 바로가기

▶ 테니스 기술 단행본 3권 세트 특가 구매

원문: 바로가기 (Daum)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프리미엄 광고 ⭐
PREMIUM 초고속티비
PREMIUM 붐붐의민족
PREMIUM 픽인사이드
PREMIUM 먹튀데이
PREMIUM 꽁데이
유료 광고
Total 22,207 / 3 Page
번호
제목
이름
Member Ra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