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문조사
New Comment
  • 댓글이 없습니다.
Statistics
  • 현재 접속자 212(3) 명
  • 오늘 방문자 1,525 명
  • 어제 방문자 10,825 명
  • 최대 방문자 11,504 명
  • 전체 방문자 1,164,359 명
  • 전체 회원수 794 명
  • 전체 게시물 134,816 개
  • 전체 댓글수 328 개
연예계소식

배두나의 인생 첫 해외 진출작, 20년 만에 본 소감 물었더니...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토도사연예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34

본문

[장혜령 기자]

12일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영화 <린다 린다 린다>의 기자간담회가 열렸다. 현장에는 야마시타 노부히로 감독, 배두나, 마에다 아키, 키시이 유우, 셰키네 시오리가 참석했다.

<린다 린다 린다>는 고교 생활 마지막을 장식할 축제를 준비하는 여고생 밴드와 얼떨결에 보컬이 된 한국인 유학생 '송(배두나)'의 서툴고 반짝이는 청춘을 그린 이야기로 청소년 밴드 영화의 교본으로 불린다.

20년 만에 뭉친 '파란마음'
 영화 <린다 린다 린다> 스틸컷
ⓒ 그린나래미디어(주)
한국 유학생 '송' 역의 배두나는 "재개봉 소식을 듣고 너무 기뻤다. 제 청춘 중 가장 아름다웠던 시절이 담긴 영화다. 밴드 멤버로 호흡 맞췄던 배우와 제작진의 아름다운 추억이 담겼다. 몽글몽글 기분이고 이상한데 자랑스럽기까지 하다"라며 벅찬 마음을 전했다.

'쿄코'역의 마에다 아키는 "20년 만에 영화관에서 재개봉하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일본에서도 무대 인사를 했었는데 많은 관객이 GV 때 질문을 해주었다. 여전히 사랑받는 작품임을 느꼈고 네 사람이 만날 수 있어서 행복했다"라고 말했다.

'케이'역의 카시이 유우는 "<린다 린다 린다>는 제 데뷔작이자 20년 만에 재개봉되는 뜻깊은 영화다. 이 영화로 영화 제작 과정을 알게 되었고 많이 배웠고 선물과도 같은 작품이다"라고 했고, '노조미'역의 세키네 시오리는 "본업이 뮤지션이라 제게 특별한 경험으로 남아있다. 20년이 지나 일본과 한국에서 재개봉하는 작품이 나온 건 기적 같은 일이다"라며 소감을 밝혔다.

야마시타 노부히로 감독은 "제가 스물여덟 살이었던 반짝임이 담긴 작품이다. 마치 보컬이었던 송의 나라를 멤버들과 찾은 것 같고, 밴드의 고문으로 동창회에 참석한 것 같기도 해 보상을 받는 기분이다"라고 소회를 밝혔다.

현장은 영화 속 밴드 '파란마음'의 멤버들이 각자의 길을 걸어가다 잊고 지낸 인연을 만난 즐거움과 놀라움이 교차하는 묘한 분위기였다. 20년 만에 영화를 다시 본 소감과 명장면을 꼽는 시간이 이어졌다.

야마시타 노부히로 감독은 "제가 만들었지만 다시 보니 부끄럽게도 다 좋은 장면이다. 볼 때마다 마음에 드는 장면이 바뀌는데 오늘은 송이 체육관에서 혼자 멤버들을 소개하는 장면 이후 연습실로 돌아왔을 때를 꼽겠다. 악기 세팅을 마친 세 멤버의 표정과 '하자'라고 말하는 게 자연스럽게 표현되어 있어 소름 끼칠 정도였다"라고 답했다.

세키네 시오리는 "처음에는 연기가 어색했지만 슈퍼마켓에서 장 보는 장면을 찍을 때가 다들 친해졌고 연기도 적응해서 자연스러운 모습이 나왔다. 그 장면이 좋다"라고 말했고, 카시이 유우는 "20년 전과 지금 좋아하는 장면이 다르다. 지금은 영화 후반부에 신발장부터 시작해 비가 내리는 교정을 보여주는 장면이 좋았다. 시간의 흐름을 표현한 장면이 마음에 스며드는 것 같다"라고 답했다.

마에다 아키는 "송이 '린다 린다 린다라'는 곡을 듣고 나서 악보를 복사해 함께 돌아가는 장면이 기억에 남는다. 송이 밴드에 합류했다는 기쁨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라고 말했고, 배두나는 "저도 송이 밴드에 합류해서 악보를 받고 걸어가는 장면이 좋다. 송의 표정을 보니 합류한 기쁨이 전해져 마음이 울렁거리더라. 그때 멤버들의 뒷모습이 아직도 눈에 선한데 다시 본 장면에서도 발견해 감회가 새롭다"라고 말했다.

한일 양국의 오랜 우정
 영화 <린다 린다 린다> 스틸컷
ⓒ 그린나래미디어(주)
영화 <린다 린다 린다>는 음악을 전면에 내세운 경음악 밴드의 성장과 청춘을 다루며 여전히 많은 영화팬의 가슴속에 남아 있는 인생 영화이기도 하다.

야마시타 노부히로 감독은 "<린다 린다 린다>는 제가 만든 음악 영화의 기준점이 되었다. 순수하게 음악을 좋아한다는 열정, 목표를 이루는 것 말고 다른 이야기를 넣고 싶지는 않았다. 앞으로도 음악 영화를 만든다면 동일한 테마가 될 것이다"며, 속편 제작에 대해서는 "생각해 본 적 없지만 만들어진다면 송은 한국으로 돌아갔을 테고, 그때처럼 간단하지 않다. 속편 제작 계획은 없다"라고 답했다.

이어 영화 제목으로 밴드 블루하츠의 노래를 선택한 이유를 두고 "여고생이 블루하츠의 카피 밴드로 시작해 커버송을 부른다는 기획이 먼저였고 블루하츠 음악을 사용한다는 게 명확했다. 이 밴드의 음악이 여전히 사랑받는다는 건 세월이 지나도 바라지 않는 명곡이란 의미다"라며 블루하츠에게 감사를 보냈다.

영화라는 매체로 한일 교류의 우정을 다졌던 만큼 영화 속 밴드도 국경을 초월한 음악 교류를 보여준다. <린다 린다 린다>가 여전히 사랑받는 이유에 대해 배두나는 "20대의 찍은 영화를 40대에 보니 시대를 초월하는 기분이 들었다. 30년, 40년이 시간이 지나도 사랑받을 작품이다. 문화와 국경을 뛰어넘는 공통적이고 보편적인 정서를 담고 있다. 학창 시절 3일 동안 음악 밴드에 전념한다는 정서와 감독님만의 위트도 살아 있다. 밴드 이야기를 담담하고 리얼하게 담아낸 영화다. 감정의 파도 없이 편안하게 보면서 감동도 챙겨 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배두나 인생 첫 해외 진출작
 영화 <린다 린다 린다> 예고편 캡쳐
ⓒ 그린나래미디어(주)
마지막 멤버로 한국인 유학생 '송'을 영입하게 된 계기를 두고 야마시타 노부히로 감독은 "<플란다스의 개>를 관람하고 배두나 씨에게 첫눈에 반했다. 저의 제안에 응하지 않을 것 같았는데 수락해서 놀랐다. 그때 과감하게 정면 승부를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고 털어놨다.

이어 "이 영화에 큰 의미를 두면서 만들지는 않았다. 송이란 캐릭터도 한국인으로 설정하고 나서 출연을 부탁한 건 아니었다. 배두나 씨를 본 후 매력을 느껴 함께 한 것이다. 비슷한 예로 얼마 전 양익준 씨와 협업한 <고백>이 그렇다. 원작은 일본인으로 구성된 스토리였지만 양익준 씨가 참여하면서 한국인으로 수정된 시나리오가 3년 만에 만들어져 촬영하게 되었다"며 온전히 배우의 매력만으로 시나리오가 수정된 이유를 덧붙였다.

이야기를 듣던 배두나는 "제가 지금은 세계 여러 곳에서 촬영하지만 첫 해외 진출작이었다. 그 경험이 소중했고 큰 용기를 주었던 작품이다. 더 넓은 세상으로 도전하게 도와준 뿌리와 같다. 첫 개봉 때 소규모로 개봉했었는데 5년, 10년 뒤에 북미, 유럽에서도 재미있게 봤다는 이야기를 듣게 되어 놀란 영화다. 참 고맙고 소중한 작품이다. 20주년 재개봉까지 하게 되니 꼭 월드투어하는 기분이다"라며 특별한 감정을 전했다.

한편, 한국에서 2006년 개봉한 <린다 린다 린다>는 20년 만에 4K 리마스터링되어 오는 17일 개봉을 앞두고 있다.
 영화 <린다 린다 린다> 포스터
ⓒ 그린나래미디어(주)
원문: 바로가기 (Daum)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프리미엄 광고 ⭐
유료 광고
Total 7,605 / 319 Page
번호
제목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