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요한 "인간 창조력 없으면 AI도 없어…효율성은 체감했다" ('중간계')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토도사연예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11
본문
[TV리포트=강해인 기자] 배우 변요한이 배우와 AI의 관계에 대한 생각을 전했다.
13일, 서울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는 영화 '중간계'의 언론시사회가 진행됐다. 현장에는 강윤성 감독과 배우 변요한, 김강우, 방효린, 임형준이 참석해 작품에 관한 이야기를 나눴다.
'중간계'는 이승과 저승 사이 '중간계'에 갇힌 사람들과 그 영혼을 소멸시키려는 저승사자들 간의 추격전을 다룬 액션 블록버스터다.
한국 최초의 AI 장편 영화인 만큼 '중간계' 기자간담회에서는 기술 및 기술의 적용에 관한 질문이 많았다. 기존 현장과의 차이에 관해 강윤성 감독은 "크리처물을 만들 때 그린 매트 앞에서 배우만 촬영하고, 배경을 합성하는 방식을 쓴다. '중간계' 현장에서는 그린 매트 없이 촬영하는 방식을 활용했다. 배우가 시선을 따라갈 수 있는 녹색 볼 정도만 활용했다"라고 말하며 AI 기술의 장점을 설명했다.
변요한은 "오늘 기자간담회가 AI 청문회 같다"라고 웃으며 입을 열었다. 그는 "실험을 끝내고 증명을 받는 순간 같다. 촬영하며 AI가 어떻게 영화 산업에 활용되고, 어떤 선까지 넘을 수 있을지 고민했다. 결과적으로 감독님, 배우, 스태프 등 인간의 창조력이 없으면 AI는 존재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영화 산업은 시간, 자본과의 싸움인데 그런 부분에 있어서는 효율적인 부분을 체감할 수 있었다"라고 AI와 작업한 소감을 밝혔다.
김강우는 "AI가 활용된 장면이 '어떻게 구현될까'에 관한 궁금증은 많은 분이 가지고 있을 거다. 스마트폰이 처음 나왔을 때 필요성에 대한 의문이 있었는데 어느 순간 없어서는 안 될 도구가 됐다. AI도 그렇게 될 것 같으면서도 배우로서 겁도 났다. 우리 직업이 없어지는 게 아닌가 걱정도 됐지만, 아직은 배우를 대체할 수 없다는 것에 동의한다"라고 생각을 전했다.
방효린은 "오히려 훨씬 많은 소통이 필요한 작업이었다. 촬영, 조명, 분장, 음향뿐만 아니라 모든 스태프와 활발히 소통했다. 배우분들과도 많은 이야기를 나눴다. 상상에 기대는 부분이 더 많았기 때문에 감정이나 반응의 섬세함을 표현하기 위해 더 노력했다"라고 AI와 함께했던 현장을 돌아봤다.
임형준은 "많은 군중이 필요한 신에서는 배경으로서 AI가 인간을 대신할 수 있을 것 같다. AI의 발전 속도가 빨라지면서 배우들도 AI와의 협업을 염두하면서 공부해야 하는 시기 같다"라고 AI와 함께하게 될 미레를 예상했다.
'중간계'는 이번 달 15일 개봉해 관객과 만날 예정이다.
강해인 기자 khi@tvreport.co.kr / 사진= CJ CGV㈜
관련자료
-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