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른 살 BIFF, 희망의 돛 올리다…MC 이병헌 "또 다른 시작 목격"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토도사연예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41
본문
아이즈 ize 부산=한수진 기자
서른 돌을 맞은 부산국제영화제의 돛이 희망의 바람을 타고 올랐다.
17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 전당 야외극장에서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BIFF) 개막식이 열렸다. 사회는 배우 이병헌이 맡아 역대 최초 단독 사회자로 무대에 섰다. 특히 경쟁 영화제로 전환하는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 '여고괴담 두 번째 이야기'와 '파과'를 연출한 민규동 감독이 개·폐막식 무대를 연출해 웅장함을 더했다.
레드카펫에서는 개막식 사회자 이병헌을 비롯해 배우 고경표, 금새록, 김성철, 김유정, 배종옥, 방민아, 박근형, 박희순, 손예진, 염혜란, 예수정, 유지태, 연우진, 이유미, 이성민, 이수혁, 이진욱, 이혜영, 장미희, 전종서, 조우진, 정수정, 정우, 한소희, 한효주, 하윤경, 홍경, 밀라 요보비치, 사카구치 켄타로, 양가휘, 와타나베 켄, 감독 기예르모 델 토로, 매기 강, 박찬욱, 윤제균, 츠키카와 쇼, 걸그룹 블랙핑크 멤버 리사 등이 등장해 관객의 환호를 이끌었다.
이날 무더운 기온과 강하게 내리쬐는 햇빛, 때때로 쏟아지는 비까지 겹친 변덕스러운 날씨였지만, 낮부터 영화의 전당 인근은 일찌감치 몰려든 사람들로 붐볐다. 그 열기는 곧바로 개막식 야외극장 객석으로 이어져 빈자리를 찾기 힘들 만큼 가득 채운 관객들로 진풍경을 이뤘다.
개막식 시작과 함께 이병헌이 무대에 올랐다. 이병헌은 "이 자리에 서 있는 게 정말 신기하다. 1991년에 데뷔해 1995년에 첫 영화를 찍었다. 올해로 30년 차 영화배우다"며 "30년이 되어서야 조금 배웠다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신기한 건 부산국제영화제도 저와 비슷한 시기에 시작했다"며 BIFF와의 인연으로 말문을 열었다.
그러면서 "여기 처음왔을 때 언제 저 무대에 올라갈지 기대하던 사람인데 오늘 이렇게 무대에 서 있다. 감사하다"며 "시간은 여러모로 우리를 바꿔놓지만 영화 앞에서의 설렘은 같다. 모든 이야기에는 시작이 있다는 것, 그리고 오늘 밤 우리는 또 다른 시작을 목격하게 될 것"이라고 말하며 영화제의 본격적인 막을 열어젖혔다.
이병헌의 멘트 후 이날 아시아 영화 산업과 문화 발전에 뚜렷한 공헌을 한 인물이나 단체에 주어지는 '올해의 아시아영화인상', 그리고 한국 영화를 세계에 알리는 데 기여한 이에게 수여하는 '한국영화공로상' 시상이 진행됐다.
'올해의 아시아영화인상'은 이란의 거장 감독 자파르 파나히가 수상했다. 파나히 감독은 제1회 김대중노벨평화영화상, 제63회 베를린국제영화제 은곰상 각본상, 제65회 베를린국제영화제 FIPRESCI상, 제65회 베를린국제영화제 황금곰상 등을 받으며 국제 영화계에서 굵직한 족적을 남겨온 인물이다.
'한국영화공로상'은 '부러진 화살', '소년들' 등을 연출한 정지영 감독이 선정됐다. 정지영 감독은 "지난 50년 동안 순탄치만은 않았다. 때론 거친 파도와 싸왔고, 어느 때는 열심히 노를 저었다. 군사 독재 시대에는 검열과 맞서 싸웠다. 그 거친 길을 함께 걸어온 수많은 동료가 있다. 이 상은 그들을 대신 받는 것"이라고 소감을 전했다.
영화 산업에서 여성의 지위를 높이고 문화적, 예술적 기여를 널리 알리기 위해 마련한 '까멜리아상'은 감독 겸 배우 실비아 창이 받았다.
올해 BIFF는 국제경쟁 부문인 '부산 어워드'를 신설했다. 영화제 출범 이후 30년 만의 첫 공식 경쟁으로, 아시아의 시선으로 세계 영화를 조망하고 동시대 영화를 탐구하겠다는 포부다. 그런 만큼 이 자리에서 경쟁작을 심사할 심사위원단이 무대에 올라 관객들에게 인사했다. 배우 양가휘를 비롯해 배우 겸 감독 난디타 다스, 감독 마르지예 메쉬키니, 감독 코고나다, 프로듀서 율리아 에비나 바하라, 배우 한효주, 감독 나홍진 등이 그 주인공이다.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는 17일부터 오는 26일까지 열흘간 커뮤니티비프 상영작 87편을 포함해 총 64개국 328편의 영화를 영화의전당과 CGV센텀시티, 롯데시네마 센텀시티, 영화진흥위원회 표준시사실, 동서대학교 소향씨어터 신한카드홀, 부산시청자미디어센터 공개홀, 메가박스 부산극장 등 총 7개 극장 31개 스크린에서 상영한다.
개막작은 박찬욱 감독의 '어쩔수가없다', 폐막작은 '부산 어워드'의 대상 작품이다. 폐막식 사회는 배우 수현이 본다.
관련자료
-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