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를 품은 서울③] 장비부터 소품까지…100년을 담은 한국영화박물관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토도사연예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14
본문
카메라·포스터·의상 등으로 알아보는 한국영화의 흐름
[더팩트|박지윤 기자] 누군가는 추억의 한 페이지를 열어볼 수 있고, 또 다른 누군가는 경험하지 못한 그때 그 시절을 간접적으로 경험해 볼 수 있는 공간이 있다. 단순한 전시를 넘어 한국영화의 100년 역사와 문화를 담은 한국영화박물관이다.
한국영상자료원이 운영하는 한국영화박물관은 1919년 첫 한국영화 '의리적 구토'가 나온 이후 약 100년 가까이 된 한국영화의 역사를 기리기 위해 건립된 곳으로, 국내 유일의 영화전문 국립박물관이다. 2008년에 개관해 2015년 국립박물관으로 등록됐다.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에 있는 한국영상자료원 1층에 있으며 공항철도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서 도보로 약 15분 걸린다. 매주 화~토요일 10시 30분부터 19시까지 운영되고 일, 월요일은 정기 휴무다. 입장료는 무료다. 한국영화박물관은 한국영화의 역사를 연대순으로 살펴보고 짧지만 직접 관련된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체험존으로 구성된 상설전시와 다양한 주제 안에서 한국영화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획전시를 선보이고 있다.
한국영화박물관에 입장하면 '한국영화를 보다'라는 제목의 상설전시를 먼저 관람할 수 있다. 이는 '영화의 탄생' '신기한 경험의 시작, 활동사진 조선에 오다' '한국영화 100년의 시간' '근대, 식민, 조선영화' '해방과 전쟁' '매혹과 혼돈' '한국영화 르네상스' '청년문화의 시대' '변화의 바람' '영상문화의 폭발' '아카이브' '한국영화 100선' '애니메이션' '영화인' 등, 한국영화사를 14개의 세부 주제별로 나누고 시간순으로 소개한다.
기자는 한국영화가 탄생했을 때부터 최근까지의 흐름을 연표를 통해 한눈에 확인할 수 있었다. 최초의 조선영화가 등장했던 때부터 일제 식민지와 6·25 전쟁을 겪은 후 영화제작 시스템을 극복하려 했던 영화인들의 작품들과 황금기와 불황기를 거치면서 발전한 한국영화계 그리고 멀티플렉스가 등장하고 지금의 영화시장이 되기까지, 시간에 따라 변화한 시대에 발맞춘 한국영화산업을 자세하게 볼 수 있었다.
섹션을 나누는 벽면을 빼곡하게 채운 글과 함께 작품과 관련된 장비들과 소품들부터 영상물과 스틸컷 등이 함께 전시돼 있다. 또한 모형으로 구현된 서울 시내 개봉관과 봉준호 감독의 '괴물' '기생충', 박찬욱 감독의 '공동경비구역 JSA', 장재현 감독의 '파묘'에서 배우들이 입은 의상, 각종 영화제의 트로피, 영화인들의 주요 필모그래피와 연출 노트 등도 볼 수 있어서 경험하지 못한 시대를 이해하는 데 큰 어려움은 없다.
또 다른 상설전시는 '초기영화의 초대'로, 총 4개 섹션을 통해 19세기 후반 영화의 탄생 과정과 당시 영화인을 조망하고 초기영화의 중요한 순간들을 마주할 수 있다.
뤼미에르 형제가 발명한 시네마토그래프로 촬영한 초기 단편 영화 10편을 관람하고 이를 재현한 모형의 손잡이를 돌려 직접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공간과 흑백 무성 단편영화 '달 세계 여행'을 오마주한 작품과 로켓으로 눈 맞은 달 장면을 직접 채색하는 체험존도 있다.
홀로 전시를 즐긴 20대 여성 A 씨는 "친구를 만나러 상암에 왔다가 시간이 남아서 걷다가 발견하게 됐다. 이 근처를 많이 지나다녔는데 한국영화박물관이 있는지 몰랐다"며 "재밌게 본 영화들에 쓰인 소품을 볼 수 있어서 반가웠다. 영화를 보는 걸 좋아하지만 역사는 잘 몰랐는데 이번 기회를 통해 새롭게 알게 된 게 많아서 좋았다"고 소감을 전했다.
아이와 함께 한국영화박물관을 방문한 30대 여성 B 씨는 "박물관이라고 하면 무거운 분위기를 먼저 떠올리게 되는데 이 은 가볍게 즐길 수 있었다"며 "그때 그 시절을 추억할 수 있는 포스터들과 극장 모형을 보니까 옛날 생각이 난다. 또 각종 영화제의 트로피를 한곳에 모아두니까 멋지더라. 이런 공간을 위해 기꺼이 기증한 분들이 한국 영화를 얼마나 사랑하는지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아내와 관람한 40대 남성 C 씨는 "관람 시간이 정해져 있는 것도 아니고 입장료도 무료니까 또 오고 싶다. 오늘 아쉽게 다른 전시를 못 즐겼는데 새로운 기획 전시가 시작하면 다시 방문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끝>
<관련 기사>
[영화를 품은 서울①] 오!재미동, 충무로역 안에 있는 작은 영화관
[영화를 품은 서울②] 한국영상자료원, 기록과 보존의 중심지
jiyoon-1031@tf.co.kr
[연예부 | ssent@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관련자료
-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