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여정 "동성애자=이성애자 다 평등, 한국 아직 보수적" (인터뷰 종합) [30th BIFF]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토도사연예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22
본문
[OSEN=부산, 연휘선 기자] "동성애자도 이성애자도 다 같은 사람이죠". 배우 윤여정의 신작으로 주목받은 영화 ‘결혼 피로연' 팀이 보수적인 한국 사회에 성소수자도 폭넓게 품는 유쾌한 포용력을 제안한다.
지난 19일 부산 영화의전당 비프힐 기자회견장에서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 월드 시네마 섹션 초청작인 영화 ‘결혼 피로연’ 팀의 인터뷰가 진행됐다. 이 자리에는 작품을 연출한 앤드루 안 감독과 주연으로 활약한 배우 윤여정, 한기찬이 참석해 '부국제'를 찾은 취재진과 이야기를 나눴다.
‘결혼 피로연’은 두 동성 커플의 가짜 결혼 계획에 눈치 100단 K-할머니가 등장하며 벌어지는 예측불가 코미디를 그린 작품이다. 지난 1993년 공개된 이안 감독의 동명 영화를 원작 삼아 한국계 미국인 앤드루 안 감독이 최근 한국 문화를 담아 각색했다. 이 가운데 신예 한기찬이 동성애를 고백하는 손자 민 역을, 윤여정이 민의 고백을 품어주는 할머니 자영 역을 맡아 호흡을 맞췄다.
앤드루 안 감독은 이안 감독의 원작이 공개됐을 당시 불과 9살이었으나 과감하게 리메이크를 결정했다. 그는 "1993년에 영화를 본 기억이 난다. 그때 처음으로 동성애, 아시아인에 대한 영화를 봤다. 그 이후 한 사람으로서 영화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라고 밝혔다.
다만 영화가 꼭 마음에 들어 리메이크를 하려던 것은 아니라고. 그는 "1993년도 이후 많은 게 바뀌었고 미국에선 동성 결혼도 할 수 있게 됐다. 제 퀴어 친구들 중에 가정을 꾸리고 자녀를 갖는 친구들도 있다. 저 역시 아빠가 되는 걸 고민 중이다. 이 가운데 긴장감, 희망을 어떻게 표현할지 고민했다. 특히 퀴어이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보다 독특한 과제에 직면해야 하는 게 사실이기도 하다"라며 제작 과정의 고민을 강조했다.
여기에 더해 앤드루 안 감독은 평소 동경해오던 한국의 전통적 문화를 더했다. 돌잔치, 결혼식 폐백 같은 여전히 남아있는 전통 양식의 풍경이 한국계 교포인 앤드루의 문화 DNA를 자극했다. 이에 작품을 한국식으로 맞춰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윤여정의 역할에도 변화가 있었다.
윤여정은 "처음에 제가 오퍼를 받았을 때는 엄마 역할이었다. 한기찬이 맡은 민의 엄마였는데 캐스팅 전에 내가 엄마를 했던 아이가 캐스팅 돼서 괜찮겠다 생각했는데 이 친구는 20대더라. 앤드루한테 너무한 것 같다고 했다. 할머니를 하겠다고 제안했다. 그래서 엄마에서 할머니가 됐다"라고 말해 웃음을 자아냈다.
실제 한기찬은 1998년생으로 원작보다도 뒤늦게 태어난 신예다. 이에 그는 "원작에 대한 궁금증을 찾으며 촬영에 임했다"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성소수자 역할을 맡은 것에 대해 "역할이 퀴어였을 뿐 나는 그저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우리는 그저 인간이고 다 같은 사람이라고"라 힘주어 말했다.
작품은 전반에 걸쳐 LGBTQ 성향 차이로 발생하는 갈등과 국면들을 포용하기를 권한다. 그렇다면 실제 한국의 현주소는 어떨까. 윤여정은 성소수자를 대하는 한국의 분위기를 묻는 외신 기자의 질문에 "저는 우리가 이런 문제에서는 그런 방향(성소수자 수용)으로 나아가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동성애자도 이성애자도 평등하다. 앞으로 한국 사람들은 나아갈 때 미국처럼 돼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아직은 부족하다"라며 "한국은 굉장히 보수적인 나라다. 제가 여기서 79년을 살았기 때문에 그렇게 느낀다. 그렇다고 이성애자, 동성애자, 흑인, 황인의 카테고리를 나누는 것은 옳지 않다. 우리는 모두 인간이니까"라고 덧붙여 뭉클함을 자아냈다.
이러한 소신의 배경에는 윤여정의 개인적인 경험이 담긴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실제 윤여정의 첫째 아들이 지난 2000년 커밍아웃을 했기 때문. 앞서 윤여정은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동성 결혼식이 합법인 미국 뉴욕에서 아들과 사위의 결혼식을 치렀다고 밝히기도 했다.
다만 윤여정은 '결혼 피로연'의 특정 메시지를 강조하는 것은 경계했다. 그는 "제 얘기는 중요하지 않다. 저는 그냥 제 일을 할 뿐이다"라며 개인적인 이야기에 대해서는 답을 피했다. 또한 보수적이라고 평한 한국 사회에 '결혼 피로연'을 통해 던지고 싶은 메시지가 있는지 묻자 고개를 저으며 선을 그었다.
물론 앤드루 감독의 생각은 확고했다. 그는 "사람들이 이 영화를 보고 영감을 받았으면 좋겠다. 영감을 받아서 가족과 친구들에게 더 많은 사랑을 퍼붓고 포용했으면 한다. 이 영화는 제 바람을 투영시킨 작품인데 한국인으로서 바람을 담았다. 한국인이라면 가정을 꾸리는 게 꼭 해피엔딩으로 이어지진 않는다. 영감, 희망을 줬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많은 분들이 영화를 보고 희망적인 생각을 했으면 좋겠다"라고 밝혔다.
한기찬 역시 "저희 영화는 어찌 보면 새로운 형태의 가족에 대한 이야기"라고 거들었다. 그는 "그 과정을 재치있게 우정과 따뜻함으로, 포옹해주는 영화가 됐으면 좋겠다"라며 '결혼 피로연'에서 제시할 진보적인 가족상과 가족애를 강조했다.
‘결혼 피로연’은 오는 24일 국내에 정식으로 개봉된다.
/ monamie@osen.co.kr
[사진] OSEN 민경훈 기자, 영화 스틸컷 제공.
관련자료
-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