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문조사
New Comment
  • 댓글이 없습니다.
Statistics
  • 현재 접속자 184(5) 명
  • 오늘 방문자 508 명
  • 어제 방문자 9,559 명
  • 최대 방문자 11,504 명
  • 전체 방문자 1,182,011 명
  • 전체 회원수 795 명
  • 전체 게시물 135,553 개
  • 전체 댓글수 328 개
연예계소식

“작품에 호불호 있기 마련… 많은 의견 당연해”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토도사연예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5

본문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 없었다. 넷플릭스가 추석 연휴를 겨냥해 선보인 김은숙 작가의 신작 ‘다 이루어질지니’는 공개 전부터 큰 주목을 받았지만, 막상 공개 이후 시청자들의 반응은 엇갈리고 있다.

이 작품은 배우 김우빈과 수지의 재회, 고려 시대 중동 사막과 현재를 넘나드는 천 년의 사랑이라는 독특한 세계관으로 관심을 끌었다. 공격적 마케팅과 함께 추석 연휴 첫날인 이달 3일 공개된 이 작품은 3일 만에 넷플릭스 비영어권 TV 시리즈 부문 글로벌 5위, 국내 1위에 오르며 화제성을 입증했다.
13일 서울 종로구 한 카페에서 만난 김우빈은 “‘다 이루어질지니’는 인간의 선한 본성에 대해 말하는 작품”이라며 “호불호가 갈리는 시청자들의 반응은 겸허하게 받아들인다”고 말했다. 넷플릭스 제공
정작 작품성에 대한 평가는 싸늘하다. 글로벌 평점 사이트 IMDb에서 사용자 300여명이 매긴 평균 평점은 10점 만점에 6.2점. 느릿한 전개와 개연성 부족 탓에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주를 이룬다.

13일 서울 종로구 한 카페에서 만난 김우빈은 “모든 작품에 호불호가 있기 마련”이라며 “워낙 다양한 이야기를 담았고, 여러 생각을 하도록 만드는 작품이다 보니 그만큼 의견이 많은 것도 당연하다”고 했다. 이어 “어떤 반응이든 감사하게, 겸허히 받아들인다”고 했다.

김우빈은 인간이 신의 실패작이라고 여기는 램프의 정령 ‘이블리스’를 연기했다. 이블리스가 감정이 결여된 사이코패스 ‘기가영’(수지)과 세 가지 소원을 두고 내기를 벌이는 이야기가 극의 중심축. 시간이 흐르며 이블리스는 가영과의 전생의 기억을 떠올리고, 그녀를 향한 사랑을 자각하게 된다.
두바이 현지에서 촬영한 사막 장면은 이국적 풍경과 판타지 색채를 부각한다. 방대한 스케일과 대서사 구조, 화려한 볼거리에도 불구하고 전생과 현생을 오가는 구조는 매끄럽지 않고, 결말 역시 성기고 급박하다는 인상을 남긴다. 작품 말미에서 이블리스는 신에 의해 처형되고, 세 번째 소원을 빈 가영은 감정의 무게를 이기지 못한 채 사막에서 죽음을 맞이한다. 이들의 사랑은 비극으로 끝나는 듯하지만, 두 사람 모두 환생해 자유로운 존재로 재회한다.

김은숙 작가는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한 서면인터뷰에서 “인간의 선한 본성에 관해 이야기하고 싶었다”고 했다. 사이코패스로 태어난 가영이 할머니와 동네 사람들의 사랑 속에서 자라, 본성을 억누르고 끝내 좋은 선택을 해나가는 과정을 그리려 했다는 설명이다. 김 작가는 “(인간의) 선택을 좀 더 옳은 방향으로 이끄는 건 사람과 사람 사이의 사랑”이라고 부연했다.

김우빈 역시 “가영은 사이코패스로 태어났지만 선한 선택을 반복한다. 과연 그런 인물이 선한 사람일까, 악한 사람일까”라며 “이야기가 비극적인 결별로 끝나지 않고 따뜻하게 마무리되는 점도 좋았다”고 덧붙였다.

작품은 제작 과정에서 큰 우여곡절을 겪었다. 당초 ‘극한직업’의 이병헌 감독이 연출을 맡았으나 석연치 않은 이유로 중도 하차했고, 이후 김은숙 작가와 ‘더 글로리’를 성공시킨 안길호 감독이 후반부 연출을 맡았다. 김우빈은 “(영화 ‘스물’에서 호흡을 맞춘) 이병헌 감독과 마무리까지 함께하지 못해 아쉬웠지만, 안길호 감독님이 현장을 잘 이끌어 주었다”고 전했다.

김우빈과 김은숙 작가의 인연은 ‘신사의 품격’(2012), ‘상속자들’(2013)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 그는 “김은숙 작가의 대본은 처음 봤을 때부터 그가 왜 그 장면을 썼는지 바로 알 것 같았고, 두뇌 회로가 비슷하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이어 “‘다 이루어질지니’ 촬영 때도 대본이 나올 때마다 작품이 품은 깊고 큰 이야기에 매번 감탄했다”고 밝혔다.

‘이블리스’ 캐릭터와 인간 김우빈의 차이점을 묻는 질문에는 “인간은 존재만으로도 사랑받고, 박수받을 자격이 있다고 생각한다는 점에서 ‘이블리스’와 다르다”고 답했다. 그는 “이 작품을 통해 인간에 대한 믿음을 다시 떠올릴 수 있다”며 “끝까지 시청한다면 작품이 전하고자 한 메시지를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규희 기자 lkh@segye.com

원문: 바로가기 (Daum)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프리미엄 광고 ⭐
유료 광고
Total 7,910 / 1 Page
번호
제목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