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문조사
New Comment
  • 댓글이 없습니다.
Statistics
  • 현재 접속자 166(3) 명
  • 오늘 방문자 1,655 명
  • 어제 방문자 7,095 명
  • 최대 방문자 8,785 명
  • 전체 방문자 1,016,858 명
  • 전체 회원수 791 명
  • 전체 게시물 128,468 개
  • 전체 댓글수 328 개
연예계소식

전유성, 폐기흉 악화로 오늘(25일) 사망..향년 76세 [속보]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토도사연예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4

본문

[OSEN=하수정 기자] '개그계 대부' 전유성이 폐기흉 증상이 악화되면서 오늘(25일) 별세했다.

한 매체에 따르면, 코미디언 전유성은 25일 밤 9시 5분경 입원 중이던 전북대학교 병원에서 사망했다. 향년 76세.

보도에 의하면 한국방송코미디언협회 측은 "밤 9시 5분경 유일한 가족인 딸이 지켜보는 가운데 세상을 떠났다. 이미 마음의 각오는 했지만 너무나 안타깝고 슬프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이날 후배 김학래는 OSEN과의 통화에서 전유성의 건강상태에 대해 "심각하다. 벌써 의사들의 예측도 빗나갔다. 이미 4~5일 전에 돌아가셨어야 될 분인데 그래도 버티고 있는거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병원측 예상대로라면) 몇 개월 전에 돌아가셨어야 했다. 제가 어제 직접 가서 보니까 산소 호흡기를 끼고 숨을 쉴 뿐인데 그것도 버겁게 숨을 쉬고 있다. 근데 신기한건 정신은 말똥하다. 소위 애드리브도 하고, (병문안) 온 사람들한테 유머도 할 정도로 그렇게 멀쩡하시다"라고 전했다.

하지만 언제 돌아가실지 알수 없는 상황인 만큼 미리 장례 준비를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김학래는 "오늘, 내일 하시니까 우리가 미리 희극인장으로 준비 중이다. 이것도 전유성 선배가 누워서 지시를 한 거다. 그 판국에 '장례에는 희극인 협회장으로 해라' 이렇게 지시를 해 주고, 주위에 있는 사람들이 서울 병원에서 치러야 되지 않을까 해서 그게 맞다고 하셨다. 그래서 서울에서 (장례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딸이 하나 있는데, 유족이 하는 얘기는 화장해서 지리산 밑자락 남원에 시립 납골당이 있다더라. 거기에 보관을 해뒀다가, 유성이 형이 원하는건 수목장이다. 지리산 자락에 수목을 했으면 좋겠다고 했는데, 합법적으로 지금 할 수있는게 없다. 일단은 시립 납골당에 모셨다가 나중에 수목장 시설이 생기면 얼른 그쪽으로 수목장으로 옮기겠다 이렇게 해둔 상황"이라며 "가슴이 더 짠하다"라고 심경을 토로했다.

다만 전유성 측 관계자는 OSEN과의 통화에서 "현재 상태가 그 정도는 아니다. 상태가 좋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해서 심각하게 받아들일 정도는 아니었다. '아프시대' 하고 지인들이 전달하면서 과장된 면도 없지 않아 있는 것 같다"고 전했던 바. 하지만 김학래는 "아니다. 누가 그러냐. 직접 가서 보고 온 사람들은 다 심각해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금방 돌아가실 것도 같고 이래서"라고 위독한 상태임을 알렸다.

그러면서 "(본인도 마음의 준비를) 다 하고 지시를 하고 있더라. 그리고 사람들한테도 직접 '저는 곧 죽어요'라고 얘기를 하더라"라고 설명했다.

또 전유성이 딸에게 자신의 사후에 대한 유언을 남기기도 했다는 보도에 대해 김학래는 "그 부분에 대해서는 물어보진 않았다"면서도 "유언이라는 게 그런 거 아니겠냐. 내 생각에는 희극인 장으로 해주고, 화장해서 수목장으로 해달라는 것도 유언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전유성은 최근 기흉 관련 시술을 받았지만, 이후 호흡 곤란 증상이 지속됐으며 상태가 심각해져 다시 입원하게 된 것으로 전해졌다. 건강상의 문제로 지난달 예정돼있던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 '코미디 북콘서트'에도 불참했으며 그 뒤로 건강 위독설이 제기됐다.

한편 1949년생으로 올해 76세인 전유성은 단순한 개그맨을 넘어 방송 작가, 공연 기획자, 영화 감독 등 다방면에서 독보적인 족적을 남긴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서라벌예술대학에서 연극을 전공한 그는 당대 최고 MC였던 곽규석의 원고를 써주는 코미디 작가로 연예계에 첫 발을 내디뎠다. 1970년대 TBC 인기 쇼 프로그램 ‘쇼쇼쇼’ 대본을 쓰며 작가로서 명성을 쌓은 그는 ‘코미디언’이라는 단어 대신 ‘개그맨’이란른 용어를 처음으로 제안하고 대중화시킨 인물로도 유명하다. 이로써 ‘개그맨’은 콩트 코미디 뿐만 아니라 창의적이고 재치있는 유머를 구사하는 새로운 형태의 희극인을 지칭하는 단어로 자리를 잡았고, 한국 코미디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중요한 계기가 됐다.

KBS ‘유머 1번지’, ‘쇼 비디오 자키’ 등 당대 최고의 코미디 프로그램에서 활약한 전유성은 한번 더 생각해야 웃음이 터지는 ‘슬로우 개그’, ‘지적인 개그’를 구사, 당시 주류를 이루던 슬랩스틱 코미디와는 차별화된 자신만의 길을 걸어왔다. 특히 ‘개그계 아이디어 뱅크’라는 별명에 걸맞게 수많은 후배들의 코너에 결정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했다.

전유성의 업적은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그는 한국 코미디 발전을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선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2007년 경상북도 청도에 국내 최초의 코미디 전용 극장 ‘철가방 극장’을 설립했으며, 아시아 최초의 코미디 페스티벌인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 명예위원장을 맡아 한국 코미디를 세계에 알리는 데 힘썼다.

후배 양성에도 힘을 낸 전유성이다. 20대 시절 이미 이문세, 주병진 등을 발굴할 만큼 뛰어난 안목을 자랑한 그는 가수 김현식을 알아보고 가수로 나가길 권유했던 것으로도 유명하다. 개그우먼 팽현숙을 발굴한 것도 전유성이며, 예원예술대학교의 코미디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조세호, 김신영 등을 제자로 키워내기도 한 사람이 바로 전유성이다. 또한 배우 한 채영을 알아보고 데뷔시킨 인물이기도 하다.

/ hsjssu@osen.co.kr

[사진] OSEN DB

원문: 바로가기 (Daum)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프리미엄 광고 ⭐
유료 광고
Total 4,805 / 1 Page
번호
제목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