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영화 첫 시험대”…‘중간계’, 한국 영화계 새 역사 쓸까[MK현장]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토도사연예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6
본문
강 감독은 13일 오후 서울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 진행된 영화 ‘중간계’(감독 강윤성) 언론배급시사회 및 기자간담회에서 “오랜만에 관객과 만날 생각에 떨리는 와중에 하필 복귀작이 AI여서 더 떨리고 여러 생각이 든다”고 운을 뗐다.
그는 “작년에 파인 촬영하고 있을 때 KT에서 5~10분 분량의 AI영화를 만들어보자는 제안을 줬다. 오래전 데뷔할 때 하려고 써놨던 ‘뫼비우스’가 ‘중간계’의 모티브가 된 작품을 고쳐서 장편영화로 만들겠다고 협의했다”며 “제작 프리 단계에서는 AI기술이 실사 영화와 섞이지 않을 정도로 기술이 떨어졌었는데 계속 기술이 급격하게 발전되면서 지금에 이르게 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제작비는 여러 여건이 섞여서 정확히 말씀드리기 어렵지만 CG작업을 할 때 폭발 장면의 경우 못해도 4~5일 걸릴 일인데 AI는 한두 시간으로 끝내는 효율이 있었다. 제일 어려웠던 건 기획단계부터 AI와 VFX와의 협업이었다”고 털어놓았다.
그러면서 “영화를 찍던 팀들이어서 어떻게 AI와 소통하고 이야기해야 하는지가 걸리는 부분이었다. 초반부터 아예 VFX는 AI로 서포팅한다는 개념으로 캐릭터 디자인, 액션을 모두 AI가 하고 나머지는 VFX는 도와준다 생각하고 만들었다. 크리처 디자인은 AI팀과 같이 했고 모든 동작이나 액션 연출도 당시 AI기술로는 폭력적인 게 막혀있었는데 여러 기술을 사용해서 싸움 장면을 만들었다. 부족한 장면은 VFX로 보충했다”고 상세하게 설명했다.
강 감독은 “AI가 배우를 대처할 수는 없다”면서 “배우들이 각각 크리에이터이기 때문에 대체는 불가하다. 대신 전통적으로 했던 방식 중에서 어떤 배우가 날아가야 하거나 갑자기 사고장면이 있을 때 CG기술을 사용하는데 그런 기술은 AI로 많이 대초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영화 산업은 시간, 자본과의 싸움인데 그런 부분에 있어서는 효율적인 부분을 체감할 수 있었다”고 했다.
김강우는 “AI가 활용된 장면이 어떻게 구현될까에 관한 궁금증은 많은 분이 가지고 있을 거다. 스마트폰이 처음 나왔을 때 필요성에 대한 의문이 있었는데 어느 순간 없어서는 안 될 도구가 됐다. AI도 그렇게 될 것 같아 배우로서 겁도 났다”고 털어놓았다.
그는 “우리 직업이 없어지는 게 아닌가 걱정도 됐지만, 아직은 배우를 대체할 수 없다는 것에 동의한다”고 공감했다.
방효린은 “오히려 훨씬 많은 소통이 필요한 작업이었다. 촬영, 조명, 분장, 음향뿐만 아니라 모든 스태프와 활발히 소통했다. 배우분들과도 많은 이야기를 나눴다”면서 “상상에 기대는 부분이 더 많았기 때문에 감정이나 반응의 섬세함을 표현하기 위해 더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임형준은 “많은 군중이 필요한 신에서는 배경으로서 AI가 인간을 대신할 수 있을 것 같다. AI의 발전 속도가 빨라지면서 배우들도 AI와의 협업을 염두하면서 공부해야 하는 시기 같다”고 솔직하게 털어놓았다.
강 감독은 “작품 속에 캐릭터가 많이 나온다. 초반에 관계와 인물 소개에 20여분을 할애한다. 각각의 인물이 특색 있기를 바랐고 전작에 작업하신 분들이 많이 나오기도 하지만 새로운 인물이 나오길 바라서 캐스팅했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속편에 대해서는 “2편도 시나리오 다 써놓은 상황”이라며 “2편까지 이야기되고 시작된 상황, AI 기술 발달이 있어서 우선 1편 개봉하고 시리즈형 영화로 접근하겠다 생각을 했다”고 예고했다.
‘중간계’는 이승과 저승 사이의 공간에서 벌어지는 추격 액션 블록버스터로, 국내 최초로 AI 기술을 활용한 장편 상업 영화다.
오는 15일 개봉.
관련자료
-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