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계소식

"CJ ENM·엠넷 갑질·감언이설에 50억 날려" 엠피엠지의 공개저격 [종합]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토도사연예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5

본문

소속사 엠피엠지(MPMG)의 이종현 PD가 CJ ENM·Mnet의 갑질을 주장하며 사과를 받길 요청했다.

iMBC 연예뉴스 사진

엠피엠지의 대기업의 갑질과 횡포에 대한 신고 기자회견이 12일 오후 서울 마포구 엠피엠지 사옥에서 진행됐다. 자리에는 이종현 PD와 법무법인 정동의 김종희 변호사가 함께했다.

엠피엠지 측은 앞서 공식 보도자료를 통해 "당사는 모 대기업의 상식적이지 않은 횡포로 인해 수년간 경제적, 업무적, 정신적으로 큰 위기에 봉착했다. 이런 갑질에 대해 공정거래위원회 신고와 법적 절차를 밟기에 앞서, 그 내용을 처음으로 밝히는 자리를 갖고자 한다"라며 기자회견을 예고한 바 있다.

해당 자료에서 엠피엠지 측이 언급한 대기업은 CJ ENM이었다. 이 PD는 본격적인 기자회견에 앞서 "신고의 대상은 CJ ENM 산하 방송사 Mnet으로, 2022년 방송된 '그레이트 서울 인베이전'이 연관되어 있다. 3년이란 시간이 지났지만 그냥 덮어두기엔 또 다른 선의의 피해자가 생길 것을 우려해 이렇게 목소리를 내게 됐다"라고 말했다.

iMBC 연예뉴스 사진

이 PD의 설명에 따르면 '그레이트 서울 인베이전'은 엠피엠지의 투자로 제작된 프로그램이었다. 처음엔 반반씩 지불하는 게 어떠냐 제안했으나, Mnet의 일방적인 요청과 설득으로 홀로 모든 비용을 부담하게 됐다고.

이 PD는 "밴드신 자체가 침체되어 있던 분위기라 밴드 프로그램을 하나 만들고 싶었다. 처음엔 기존에 있던 경연 프로그램(JTBC '슈퍼밴드')에 콘택트 했지만 당장엔 새로운 시즌에 대한 계획이 없다고 해 무산됐고, 그래서 자체 제작을 고민하고 있던 때였다. 그 와중에 CJ ENM 소속의 모 PD(이하 A씨)를 우연치 않게 만났다. 서로 대화를 나누는데 내가 15억 원을 투자해 경연프로그램을 만들어보려 한다고 하니 태도가 바뀌며 Mnet이랑 같이 하는 건 어떠냐고 하더라. 밴드신의 '쇼미더머니'를 만들고 싶다며 적극적으로 어필했다. 처음엔 10억씩 부담하자는 취지로 얘기가 오갔다"라고 말했다.

iMBC 연예뉴스 사진

기획 과정은 순조로웠다. 이 PD는 경연 프로그램에 대해 여러 요청사항을 건넸고, A씨는 이를 받아들였다. 하지만 막상 첫 촬영을 앞두고 받은 계약서엔 합의한 것들과는 다른 내용이 적혀 있었다. 10억 투자는 어렵고, 약속된 15억 원 역시 프로그램 제작에 있어선 부족함이 많으니 30억 원을 홀로 투자하라 말을 바꿨다는 것.

이 PD는 "우리가 나름 홍대신에선 탄탄한 회사라 할 수 있지만 매출 구조가 말이 안 되게 높은 수준도 아니지 않냐. 30억이 적은 돈도 아니라 거절하니, 여러 혜택을 주겠다고 약속하며 설득했다. 계약 내용에도 불공정한 부분은 많았다. 협업 계약서가 아닌 협찬 계약서가 왔고, 업무구조를 살펴보니 우리의 이름만 적혀있었다. 이유를 물으니 'CJ ENM의 기본 포맷이라 바꿀 수 없다. 내가 책임지고 문제없게끔 하겠다'는 답변만 돌아왔다. 하지만 이후에도 이상한 일들은 거듭됐다"라고 설명했다.

이 PD는 "우선 첫방 직전에 기존 PD가 관두고 Mnet의 새로운 PD가 긴급 투입됐고, PD 교체로 인해 첫 방송은 한 달 밀렸다. 그러면서 프로그램의 리얼리티와 서사는 사라졌다. Mnet은 어떤 PPL도 물어오지 못했고, 그 어떤 홍보 혜택도 받지 못했다. 우리 직원들이 현장 조율과 PR 업무를 도맡아 했다"라고 주장했다.

iMBC 연예뉴스 사진

투자금에 대한 갈등도 있었다고. 이 PD는 "경연 중 커버 미션이 있었는데, 제작진이 생전 처음 들어보는 곡을 가져와 이 곡을 커버하는 게 어떠냐고 하더라. 이유를 물어보니 저작권 비용을 낼 돈이 없어서였다. 그래서 내가 대신 선배 아티스트들을 찾아가 양해를 구하고 비용을 지불했다. 하지만 Mnet은 종영을 앞두고도 돈이 없다며 결승전을 진행할 수 없다고 했다. 결국 우리가 갖고 있던 공연장의 대관을 부탁했고, 제작비만 Mnet 측에서 별도로 내기도 했다. 그렇게 추가적으로 낸 비용까지 따지면 우리가 부담한 비용은 50억 원이 넘는다. 그렇게 결승전이 끝나고 3일 뒤엔 콘서트도 진행했지만 담당 PD를 제외하곤 그 누구도 현장을 찾아온 적이 없다"라며 Mnet의 무책임한 태도를 지적했다.

이어 이 PD는 경연 종료 40일이 지나서야 Mnet 측과 만날 수 있었다며 "요청에 요청을 거듭한 끝에 Mnet 책임자 및 사업 책임자와 만나게 됐는데, 첫 질문이 '도대체 뭐가 문제냐'였다. 그래서 내가 '이렇게 큰돈을 내고 프로그램을 의뢰했는데 망쳐놓고 아무 연락도 없냐'고 하니, '지금이라도 이런 자리가 만들어졌으니 다행이죠'라고 했다. 화가 났지만 우리의 요청 사항을 전했다. 우선 해외 판권과 유통권을 달라고 했지만 거절됐고, 그러면 'MAMA'라도 출연시켜 달라 하니 '아무나 나갈 수 있는 자리가 아니'라며 거절당했다. 본인들이 서비스하고 있는 나라를 제외한 나라에 대해서만 유통할 수 있고, 그게 본인들의 최선이라고 했다"라고 말했다.

iMBC 연예뉴스 사진

이 PD는 "그래놓고 최근 Mnet이 새 밴드 경연프로그램 '스틸하트클럽'을 진행하니 우승팀인 터치드를 초대하고 싶다고 하더라. 우승한 친구들에 대한 어떤 지원도 없었던 Mnet이 이런 태도를 취하는 게, '스틸하트클럽'이 마치 정통성이 있는 프로그램인 것처럼 보이려는 태도에 화가 났다. 대중문화를 모토로 삼고 있는 기업이 어떻게 중소기업의 노력을 짓밟고 아무 책임도 지지 않으려 하는지 모르겠다. CJ ENM이라는 거대 기업이 굳이 이런 갑질과 착취를 했어야 하는지 궁금하다"라고 일갈했다.

그러면서 이 PD는 "현재 '스틸하트클럽'의 파트너십 명단에 카카오엔터테인먼트와 CJ문화재단의 이름이 적혀있던데, 이들도 우리와 똑같이 감언이설에 속아 착취를 당하고 있는 건 아닐지 의문스럽다. 또 우리 프로그램을 촬영할 땐 제작비가 없어 인지도 없는 곡의 커버를 부탁했던 Mnet이, 어떻게 이번엔 데이식스나 에스파와 같은 유명 가수의 곡들을 사용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마지막으로 이미경 CJ그룹의 부회장은 이 사태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지 알고 싶다"라고 외쳤다.

iMBC 연예뉴스 사진

이 PD는 '그레이트 서울 인베이전'은 여러 분야에서 유례가 없는 사례를 만들었다. 제작비 전액도 모자라 제작비 이후 홍보비까지 우리가 부담하게 했다. 방송사가 단 10원도 내지 않고 제작비의 100%를 민간기업이 다 부담하는 사례는 이번이 처음일 거다. 홍보가 안 되니 추가적인 비용까지 우리가 지불하게 했다. 그렇게 우리가 모든 비용을 지불했지만 막상 프로그램의 IP는 방송사가 가져갔다. 우리가 갖고 있는 건 '그레이트 서울 인베이전'이라는 프로그램명에 대한 소유권 뿐이다"라고 호소했다.

이어 이 PD는 "현재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는 진행한 상태이며, 할 수 있는 법적 조치에 대해 검토 중이다. Mnet 측에게 원하는 건 간단하다. 회사의 책임자급 분들이 이 사태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었는지가 궁금하고, 모르셨다면 늦었지만 진심 어린 사과를 받고 싶다. 다신 우리와 같은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길 바란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엠피엠지에는 소란, 솔루션스, 유다빈밴드, 터치드 등이 소속되어 있다.

iMBC연예 김종은 | 사진출처 엠피엠지

원문: 바로가기 (Daum)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프리미엄 광고 ⭐
PREMIUM 초고속티비
PREMIUM 붐붐의민족
PREMIUM 픽인사이드
PREMIUM 먹튀데이
PREMIUM 꽁데이
유료 광고
Total 12,785 / 1 Page
번호
제목
이름
Member Ra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