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인터뷰] "2년 전 친구를 떠나보내고"..김고은, '은중과 상연'과 맺은 인연(종합)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토도사연예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7
본문
[스포츠조선 문지연 기자] 배우 김고은(34)이 '은중과 상연'을 소중하게 간직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은중과 상연'(송혜진 극본, 조영민 연출)은 매 순간 서로를 가장 좋아하고 동경하며, 또 질투하고 미워하며 일생에 걸쳐 얽히고설킨 두 친구, 은중과 상연의 모든 시간들을 마주하는 이야기를 담은 작품으로. 김고은은 극중 류은중 역을 맡아 20대와 30대, 그리고 40대의 이야기를 그려냈다.
김고은은 22일 오전 서울 종로구의 한 카페에서 스포츠조선과 만나 "개인적으로 좋은 작품이 나온 것 같아서 안도하는 마음이 든다"면서 "작품이 나오면 주변 지인에게 연락이 오는데, 이번에는 배우 선배님들이 정말 연락을 많이 주셨다. 업계에 계신 분들께서도 유난히 많이 주신 것 같아서 잘 봐주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많은 분들이 '너 때문에 밤을 새서 봤다'거나 '수면 패턴이 망했다'고도 하시더라"며 웃었다.
'은중과 상연'은 두 사람의 10대와 20대, 30대, 그리고 40대를 그리면서 전연령 시청자들에게 공감을 안겨준 작품. 김고은도 은중과 상연 모두에 공감한다며 "저는 은중이일 때도 있고, 상연이일 때도 있지 않았나. 모든 것을 이해한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그렇게 할 수밖에 없는 마음에 대한 이해를 갖게 됐다. 그런 마음을 갖게 된 상황이 모나기도 했고, 생각이나 시야가 좁아지기도 하는 부분이 있을 수 있겠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 저는 이 작품에서 가장 마음이 아팠던 대사가 '아이가 그렇게 생각하면 세상이 그렇게 된다'는 말인데, 저는 물론 아이는 아니지만, 한 번 생각이 스쳐서 자리를 잡으면 하나의 세상이 만들어지고 그 세상에 들어가는 건 한순간이고, 쉬워 보이지만 나오기까지는 어렵다는 생각을 했던 적이 있다. 그렇게 나오기 위해 발버둥쳤던 시간이 떠오르며 상연이는 정말 뒤늦게 어떻게든 나와서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그 대사를 들었을 때 '사무친다'는 생각이 들었다. 안타까웠고, 일찍 나왔다면 상연이의 삶은 달랐을까 싶기도 했다"고 말했다.
김고은은 극중 20대와 30대, 40대를 전부 다르게 연기하면서 나이의 흐름에 따른 외면과 감정 변화로 호평받았다. 20대 연기를 위해 6kg을 찌운 뒤에는 30대 연기를 위해 3kg을 감량하고 또 40대 연기를 위해 3kg을 감량했다. 김고은은 "20대 초반은 아직까지 10대의 기운이 남아 있는 시기이지 않을까 싶어서 외적으로는 볼살이 통통하면 좋겠다는 생각에 찌우기도 했다. 6kg 정도를 찌웠던 것 같다. 새내기의 느낌을 표현하고 싶었다. 감정을 다루는 게 많이 서툴기도 하고, 그런 느낌이 많이 있었다"고 입을 열었다.
이어 김고은은 "30대는 제가 30대이기도 하기에 얼마나 달라졌는지를 돌이킨 것 같다. 분명히 20대 초반 말투와는 달라짐이 있다고 친다면, 가장 일을 활발하게 하는 시기잖나. 일에서 오는 영향이 말투에서도 드러나지 않을까 생각했다. 분위기가 에너지가 어떤 직종에서 일하느냐에 따라 다르기에 그런 에너지를 뿜어내는 직업군이 있기에 걸음걸이나 인사하는 거나, 제스처나 태도가 20대보다는 조금 더 적극적이라고 하기는 뭐하지만, 그런 분위기를 내려고 했다"고 말했다.
김고은은 또 "40대 초반은 주변을 많이 봤던 것 같다. 어쨌든 저도 40대에 가보지는 않았기에, 40대 중후반이 되면 분위기가 많이 달라지겠지만, 30대의 중반에서 40대 초반을 생각해보면 뭐가 막 달라지지는 않더라. 그래서 그런 변화를 주겠다고 하는 게 어떻게 보면 과장돼 보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조금은 그래도 차분해진 느낌을 줬다. 아무래도 직업군을 떠나기도 했고, 글을 혼자 쓰는 직업이기 때문에 그 세월로 10년을 지내서 그런 차분함과 분위기에 대한 변화를 생각한 것 같다"고 밝혔다.
김고은은 특히 '은중과 상연' 제작발표회에서 상연의 마지막을 보내는 길을 떠올리며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김고은은 "이 타임에만 이 이야기를 하려고 했다"고 입을 열며 "사실 2023년도에 가장 가까운 친구들을 잃었다.짧은 시간에 그렇게 됐는데, 너무 신기하게도 제가 23년도 한해에 촬영한 작품이 '대도시의 사랑법'과 '은중과 상연'이더라. 그렇게 하려고 한 것도 아니었고, 그렇게 세팅이 돼있었다. 그런데 물론 '대도시의 사랑법'도 우정에 대한 이야기지만, 20대 우정에 대한 이야기가 주를 이루는데 '은중과 상연'을 찍으면서는 저는 은중이란 작품이 남겨진 은중이가 상연이에 대해 얘기를 해주는 작품이라고 생각했다. 상연이의 일기도 보면서 그 아이의 입장에서 아이의 삶과 나의 삶을 잘 전달해주는 이야기가 아닌가 싶었다. 정말로 사랑하는 소중한 누군가를 우리가 보내줄 수 있는 기회가 잘 없잖나. 할머니든 누군가의 임종을 지키는 것도 참 어려울 때도 있고, 그런데 마지막 순간에 내가 그래도 침대 위에서 해줬던 얘기처럼, 그럼 얘기도 하줄 수 있고, 잘 갈 수 있게 '고생했다. 잘 견뎠다'는 말도 덧붙일 수 있고, 그게 참 은중에게는 좋은 기회였지 않았나 싶다. 남겨진 은중이가 물론 힘들었겠지만, 그래도 마음의 짐을 좀 덜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그 장면을 떠올리면 눈물이 난다"고 말했다.
이어 김고은은 "만약 친구가 이런 부탁을 한다면, 저는 가줄 것 같다"며 "20대 때 할머니와 단둘이 6년을 살았다. 대학교 1학년 때부터 '치즈인더트랩'이라는 작품을 마칠 때까지 6년을 단둘이 산 거다. 정말 많은 교감을 했고, 할머니가 고모들한테도 얘기하지 않는 것을 저에게 다 얘기하고, 친구 같은 관계였다. 저랑만 막걸리를 드시는 그런 할머니가 돌아가셨는데, 임종을 보겠다고 3일 밤낮을 병원에서 잤던 것 같다. 마지막 순간에는 잠들어서 그 순간을 못봤다. 아빠가 깨워서 '할머니 가셨어'하는데, 그게 '미지의 서울'에 나오더라. 할머니가 돌아가시기 며칠 전에 제 귀에 대고 미리 유언을 하신 것 같다. 저에게 '고은아, 너는 베풀면서 살아. 많이 도와주고 많이 베풀면서 살아. 알겠지?'하시더라. 그런 교감. 나도 할머니 귀에 매일 얘기를 하주고, 내가 딱 그 임종을 지킬 수는 없었지만, 3일 밤낮을 할머니 옆에 있었다는 것들이 다행스럽다는 기분을 느낀다. 살아가면서도 많이 슬프고 힘들지만, 마지막을 동행했다는 마음이 좋더라. 남겨진 사람의 이야기고, 다큐나 책에 잘 나와있는 게 남겨진 사람의 감정선을 따라가는 게 많아서 읽어보기도 했지만, 당시에는 많이 힘들었고 혼자 돌아오는 비행기가 얼마나 감정적으로 힘들겠나 싶기도 하다. 그렇지만 시간이 지났을 때는 그 선택을 하길 잘했다고 느낄 것 같다"고 밝혔다.
깊은 서사를 담고 있지만, 15부작이라는 다소 긴 회차 탓인지 글로벌 시청자들에게 큰 관심을 받지는 못하는 중이다. 그러나 국내에서 '은중과 상연'을 본 시청자들은 꾸준한 호평을 보내고 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이 처음이라 수치를 어떻게 봐야 하는지는 잘 모르겠다. 그런데 들어보니 1부부터 끝까지 봐야지만 성적으로 친다더라. 그렇다면 좋은 작품이니까 차차, 느리더라도 조금씩 오르지 않을까 하는 얘기를 했었다. 또 그러기를 바라고 바란다. 제발."
문지연 기자 lunamoon@sportschosun.com
관련자료
-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