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문조사
New Comment
  • 댓글이 없습니다.
Statistics
  • 현재 접속자 168(4) 명
  • 오늘 방문자 7,602 명
  • 어제 방문자 11,235 명
  • 최대 방문자 11,504 명
  • 전체 방문자 1,159,611 명
  • 전체 회원수 794 명
  • 전체 게시물 134,613 개
  • 전체 댓글수 328 개
연예계소식

[TF씨네리뷰] 돌아온 연상호, 또 잘하는 박정민의 '얼굴'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토도사연예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27

본문


2억 원이라는 초저예산으로 놀라운 완성도 자랑
오늘날의 관객들에게 던지는 묵직하고 날카로운 메시지

11일 스크린에 걸린 '얼굴'은 앞을 못 보지만 전각 분야의 장인으로 거듭난 임영규와 살아가던 아들 임동환이 40년간 묻혀 있던 어머니의 죽음에 대한 미스터리를 파헤치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더팩트|박지윤 기자] 제작 방식부터 메시지까지, 최근 한국 영화계에서 잘 보지 못했던 작품이 등장했다. 초심을 찾은 연상호 감독이 한국 영화를 대표하는 '얼굴'들로 오늘날의 관객들에게 묵직하고 날카로운 질문을 던지는 '얼굴'이다.

지난 11일 개봉한 영화 '얼굴'(감독 연상호)은 앞을 못 보지만 전각 분야의 장인으로 거듭난 임영규(박정민·권해효 분)와 살아가던 아들 임동환(박정민 분)이 40년간 묻혀 있던 어머니의 죽음에 대한 미스터리를 파헤치는 이야기를 그린다.

작품은 태어나서 아무것도 볼 수 없었던 시각장애인임에도 불구하고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장을 만드는 장인으로 거듭난 임영규가 자신의 작업실에서 PD 김수진(한지현 분)과 함께 다큐멘터리를 찍으며 인터뷰하고 있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그러던 중 임동규의 아들 임동환에게 한 통의 전화가 걸려 온다. 40년 전 실종된 어머니 정영희(신현빈 분)의 백골 사체가 발견됐다는 경찰의 연락인 것. 사진 한 장 없이 장례를 치르게 된 임동환은 존재조차 몰랐지만 장례식장에 나타난 이모들에게 사진을 부탁하면서 어머니의 이야기를 처음 듣게 된다.

이어 임동환은 어머니가 살해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경찰의 말을 듣고 김수진과 함께 죽음에 얽힌 진실을 추적하기 시작한다. 그렇게 두 사람은 어머니의 형제들을 시작으로 40년 전 정영희와 함께 청계천 의류 공장에서 일했던 사람들을 인터뷰하면서 얼굴도 몰랐던 어머니와 점점 가까워지고 가려졌던 진실을 마침내 마주한다.

박정민(왼쪽)은 시각장애가 있는 전각 장인 임영규의 젊은 시절과 그의 아들 임동환을 모두 소화하며 처음으로 1인 2역에 도전했다. 그는 아버지의 과거이자 이를 좇는 아들로서 시대를 자유롭게 오가며 다양한 얼굴을 꺼낸다.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얼굴'은 그동안 자신만의 유니크한 세계관 '연니버스'(연상호+유니버스)를 구축한 연상호 감독의 신작으로, 초기작 '사이비'의 대본 작업 이후 곧바로 구상했으며 만화를 집필할 때부터 영화화를 꿈꿔온 작품으로 많은 관심을 모았다.

연 감독은 총 다섯 번의 인터뷰를 통해 정영희의 얼굴과 죽음에 얽힌 이중의 미스터리를 밀도 있게 파헤친다. 그러면서 그는 앞이 보이지 않는 핸디캡을 극복하고 시각 예술을 하는 임동규와 그 정반대에 서 있는 정영희를 배치하며 고도성장을 이룬 1970년대 한국 근대사의 이면을 조명한다.

앞이 보이지 않는 임동규와 얼굴이 드러나지 않는 정영희 그리고 두 사람의 과거를 따라가는 아들 임동환의 이야기에서 출발한 작품은 가족사에 국한되지 않는다. 여전히 편견 차별 부조리 억압 등이 만연한 현재와 이를 살아가고 있는 관객들에게 묵직하면서도 날카로운 질문을 던진다.

사회적 낙인이 찍히고 보이지 않는 계급이 존재하는 작품을 보면서 대체 아름다움과 못생김의 기준은 누가 정할 수 있고 다수에 탑승하기 위해 무심코 타인에게 돌을 던진 적은 없었는지 등을 곱씹게 된다. 그러면서도 끝까지 정영희의 얼굴을 궁금해하는 스스로를 되돌아보며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든다.

연상호 감독은 2억 원의 초저예산을 들고 오랜 영화 동료 20여 명과 함께 단 2주의 프리 프로덕션과 13회차 촬영만으로 '얼굴'을 완성해 화제를 모았다.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이러한 묵직한 메시지가 담긴 작품의 잔상이 더욱 오래 남는 건 배우들의 열연 덕분이다.

이번 작품을 통해 처음으로 1인 2역에 도전한 박정민은 잘 할 거라는 믿음에 완벽히 보답한다. 그는 아버지의 과거이자 이를 좇는 아들로서 시대를 자유롭게 오가며 지금껏 보지 못한 다양한 '얼굴'을 꺼낸다. 특히 아들로서 이미 지나온 아버지의 과거를 듣는 장면은 배우가 1인 2역을 맡았기에 줄 수 있는 몰입도로 깊은 여운을 더한다.

정영희를 연기한 신현빈은 끝까지 얼굴이 나오지 않는다. 그는 오직 몸짓과 목소리의 떨림 정도로 인물이 느끼는 수치심과 모멸감 등 처절한 감정을 관객들에게 고스란히 전달해 놀라움을 안긴다. 권해효는 존재만으로 극에 무게감을 주고 임성재와 한지현도 제 몫을 다 해내며 작품을 더욱 풍성하게 만든다.

연상호 감독은 2억 원의 초저예산을 들고 오랜 영화 동료 20여 명과 함께 단 2주의 프리 프로덕션과 13회차 촬영만으로 작품을 완성하며 유의미한 도전을 성공적으로 해냈다. 최근 아쉬운 평가가 끊이질 않았던 연 감독이 기교 없이 묵직한 연출로 초심을 찾은 작품을 내놓은 가운데, 한국 영화계에 어떤 굵직한 기록을 남길지 이목이 집중된다. 15세 이상 관람가이며 러닝타임은 103분이다.

jiyoon-1031@tf.co.kr
[연예부 | ssent@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원문: 바로가기 (Daum)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프리미엄 광고 ⭐
유료 광고
Total 7,510 / 321 Page
번호
제목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