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문조사
Statistics
  • 현재 접속자 235(4) 명
  • 오늘 방문자 3,844 명
  • 어제 방문자 7,013 명
  • 최대 방문자 7,852 명
  • 전체 방문자 974,447 명
  • 전체 회원수 791 명
  • 전체 게시물 126,111 개
  • 전체 댓글수 328 개
스포츠뉴스

라일스, 男 200m 세계육상 4연패…제퍼슨, 女 100·200m 석권(종합)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토도사뉴스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5

본문

남자 200m 4연패 자축하는 라일스 (도쿄 로이터=연합뉴스) 라일스가 19일 일본 도쿄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5 세계육상선수권 남자 200m 결선에서 우승해 이 종목 4연패를 달성한 뒤, 손가락 4개를 펴며 자축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하남직 기자 = 노아 라일스(미국)가 우사인 볼트(자메이커) 만이 달성했던,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남자 200m 4연패에 성공했다.

라일스는 19일 일본 도쿄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5 세계선수권 남자 200m 결선에서 19초52로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했다.

케네스 베드나렉(미국)이 19초58로 2위를 했고, 브라이언 레벨(자메이카)이 19초64로 3위에 자리했다.

지난해 파리 올림픽에서 우승한 레칠레 테보고(보츠와나)는 19초65, 4위에 머물러 시상대에도 서지 못했다.

자신이 좋아하는 만화 드래곤볼의 주인공처럼 머리카락을 노랗게 물들인 라일스는 100m 지점은 3위로 통과했으나, 속력을 높여 우승을 차지했다.

'초사이언인 라일스' (도쿄 EPA=연합뉴스) 라일스가 19일 일본 도쿄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5 세계육상선수권 남자 200m 결선을 앞두고 포효하고 있다.

지난 14일 100m 결선에서 9초89로 3위를 한 라일스는 주 종목인 200m에서는 금메달을 놓치지 않았다.

라일스는 2019년 도하, 2022년 유진, 2023년 부다페스트에 이어 4회 연속 남자 200m 챔피언에 올랐다.

'황제' 볼트가 2009년 베를린, 2011년 대구, 2013년 모스크바, 2015년 베이징에서 세운 이 종목 최다 연속 우승 기록과 타이다.

라일스는 결승선을 통과한 뒤 손가락 4개를 펴며 '4연패'를 자축했다.

'단거리 스타 탄생' 제퍼슨, 100m 이어 200m도 우승 (도쿄 AP=연합뉴스) 제퍼슨이 19일 일본 도쿄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5 세계육상선수권 여자 200m 결선에서 우승한 뒤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멀리사 제퍼슨(미국)은 여자 100m에 이어 200m에서도 우승했다.

제퍼슨은 2013년 모스크바 대회 셸리 앤 프레이저-프라이스(자메이카) 이후 12년 만에 단일 세계선수권에서 여자 100m와 200m를 석권한 스프린터로 기록됐다.

제퍼슨은 200m 결선에서 초반부터 독주해 21초68에 레이스를 마쳤다.

2위 에이미 헌트(영국)의 기록은 22초14였다.

대회 3연패를 노리던 셰리카 잭슨(자메이카)은 22초18로 3위를 했다.

벤저민, 도쿄 세계선수권 남자 400m 허들 우승 (도쿄 EPA=연합뉴스) 벤저민(오른쪽)이 19일 일본 도쿄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5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남자 400m 허들 결선에서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하고 있다.

라이 벤저민(미국)은 2024년 파리 올림픽에 이어 2025년 도쿄 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서도 정상에 오르며 '만년 2위'의 설움을 완전히 털어냈다.

벤저민은 19일 일본 도쿄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5 세계선수권 남자 400m 허들 결선에서 46초52로 우승했다.

2019년 도하 세계선수권, 2021년에 벌인 2020 도쿄 올림픽, 2022년 유진 세계선수권에서 연거푸 2위에 머물고, 2023년 부다페스트 세계선수권에서는 3위로 떨어졌던 벤저민은 지난해 파리 올림픽에서 46초46으로 우승해 메이저 대회 무관의 한을 풀었고, 이날 도쿄에서는 세계선수권 첫 개인 종목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날 남자 400m 허들 결선에는 세계기록(45초94)을 보유한 카르스텐 바르홀름(노르웨이), 2위 기록(46초17)을 만든 벤저민, 3위 기록(46초29)을 보유한 산투스(브라질)가 모두 출전해 관심을 모았다.

세기의 대결 승자는 벤저민이었다.

산투스가 46초84로 2위에 올랐고, 아브데라만 삼바(카타르)가 47초06으로 3위를 차지했다.

2017년 런던, 2019년 도하, 2023년 부다페스트 세계선수권에서 우승했던 카르홀름은 200m까지 선두를 달렸지만, 이후 속력이 뚝 떨어져 47초58로 5위에 머물렀다.

펨키 볼의 금빛 미소 (도쿄 EPA=연합뉴스) 펨키 볼이 19일 일본 도쿄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5 세계육상선수권대회 여자 400m 허들 결선에서 우승한 뒤 환하게 웃고 있다.

여자 400m 허들 결선에서는 '유럽의 자존심' 펨키 볼(네덜란드)이 51초54로, 대회 2연패에 성공했다.

재스민 존스(미국)이 52초08로 2위, 엠마 자플레타로바(슬로바키아)가 53초00으로 3위에 올랐다.

올 시즌이 끝나고 은퇴하는 댈릴라 무하마드(미국)는 마지막 세계선수권을 54초82, 7위로 마쳤다.

jiks79@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원문: 바로가기 (Daum)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프리미엄 광고 ⭐
유료 광고
Total 13,642 / 2 Page
번호
제목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