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기에·멕시코와 어깨 나란히…한국, 월드컵 복병으로 급부상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토도사뉴스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7
본문
[OSEN=이인환 기자] 이제 한국 축구는 더 이상 ‘다크호스’라는 말로 설명되지 않는다. 세계 언론이 한국을 “만나기 싫은 팀”으로 규정하며 월드컵에서 피하고 싶은 존재로 꼽았다.
남미 매체 ‘골 델 코라존’은 최근 발표한 2026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 월드컵 전력 등급 분석에서 한국을 벨기에, 멕시코, 세네갈 등과 함께 ‘터프 아웃사이더(Tough Outsiders)’, 즉 상대하기 껄끄러운 팀으로 분류했다.
단순히 피파 랭킹만 놓고 보면 한국(23위)은 벨기에(8위)나 멕시코(14위)보다 낮지만, 실제 전력과 경기력, 핵심 선수들의 구성을 종합했을 때 월드컵에서 충분히 변수를 만들 수 있는 잠재력을 갖췄다고 평가한 것이다.
매체는 이번 분석에서 월드컵 참가국들을 ▲유력 우승 후보 ▲강력한 도전자 ▲다크호스 ▲터프 아웃사이더 ▲우승 불가능 수준으로 구분했다.
유력 우승 후보에는 전 대회 챔피언 아르헨티나와 유로 2024 우승팀 스페인이 이름을 올렸다. 카타르 월드컵 준우승팀 프랑스가 그 뒤를 이었다.
포르투갈·잉글랜드·네덜란드·브라질이 강력한 우승 도전 팀으로 꼽혔다. 독일·이탈리아·덴마크·폴란드·콜롬비아 등이 다크호스로 분류됐다.
한국이 포함된 ‘터프 아웃사이더’ 그룹은 이들과 비교해 우승 경쟁에서는 한 발 떨어져 있지만, 대회에서 누구에게도 쉽게 무너지지 않고 이변을 일으킬 수 있는 팀들이다.
골 델 코라존은 “한국은 한계를 넘어서는 경기력으로 상대를 곤란하게 만들 수 있는 팀”이라며 “토너먼트 진출권을 좌우할 승부처에서 언제든 발목을 잡을 수 있는 존재”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한국은 최근 월드컵 무대에서 이런 ‘저격수’의 역할을 톡톡히 해왔다. 직전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 포르투갈·우루과이·가나라는 까다로운 팀들과 한 조에 묶였음에도 1승 1무 1패(승점 4점)를 기록하며 우루과이를 밀어냈다.
16강에 진출했다.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에서 포르투갈을 2-1로 꺾고 토너먼트행을 확정 지은 장면은 전 세계 팬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현재 대표팀의 전력도 ‘터프 아웃사이더’라는 타이틀에 손색이 없다. 손흥민(라FC), 이강인(PSG), 김민재(바이에른 뮌헨)로 이어지는 핵심 축을 중심으로 이재성, 황인범, 황희찬 등 유럽에서 활약 중인 자원들이 고르게 포진해 있다.
유럽에서 경험을 쌓은 이들의 조화는 한국이 단순한 아시아 강호를 넘어 전 세계가 경계해야 할 팀으로 성장했음을 보여준다.
이번 평가에는 한국의 잠재력뿐만 아니라 월드컵 구조 변화도 반영됐다. 2026 대회부터 본선 참가국이 48개국으로 늘어나 조별리그 통과 가능성이 높아졌고, 32강부터 토너먼트가 시작된다.
조 편성과 경기 흐름에 따라 충분히 16강 이상의 성적도 기대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 축구가 바라보는 목표도 이제 “16강 진출”을 넘어 “그 이상”이다.
관건은 FIFA 랭킹이다. 한국이 현재 순위를 유지하거나 조금만 더 끌어올린다면 본선 조 추첨에서 포트 2에 배정돼 상대적으로 유리한 조 편성을 기대할 수 있다. 포트 2 배정은 조별리그 통과 가능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다.
흥미로운 점은 아시아 라이벌 일본이 한국보다 한 단계 높은 그룹으로 분류됐다는 점이다. 일본은 미국, 크로아티아, 파라과이와 함께 ‘진지한 도전자(Serious Contenders)’ 그룹에 포함됐다.
지난 대회에서 스페인과 독일을 모두 잡아내고 ‘죽음의 조’를 1위로 통과한 성과가 높게 평가됐다. 두 대회 연속 16강 진출이라는 아시아 최초의 기록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월드컵 본선이 1년도 채 남지 않은 지금, 한국 축구의 시선은 단순한 조별리그 통과를 넘어 ‘그 이상’을 향하고 있다.
/mcadoo@osen.co.kr
관련자료
-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