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통산 10번째 K리그1 우승별…4년 만에 정상 탈환(종합)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토도사뉴스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4
본문
[전주·서울=뉴시스]김진엽 안경남 기자 = 프로축구 K리그1 전북현대가 4년 만에 리그 트로피를 거머쥐었다. 역대 두 번째로 파이널 라운드(스플릿 라운드) 진입 전에 정상을 밟으면서, 통산 10번째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전북은 18일 오후 2시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수원FC와의 하나은행 K리그1 2025 33라운드 홈 경기에서 전반 1분에 나온 콤파뇨의 선제골과 후반 16분에 터진 티아고의 추가골에 힘입어 2-0 완승을 거뒀다.
이날 승리로 전북은 21승8무4패(승점 71)를 기록하게 됐다. 패배한 수원FC는 10위(승점 38)로 떨어졌다.
2위 김천상무는 같은 시각 안양종합운동장에서 열린 FC안양과의 경기에서 패배, 16승7무10패로 승점 55에 머물렀다.
이에 김천은 잔여 5경기에서 전승을 거둬도 1위 도약이 불가능해졌고, 전북은 조기 우승을 달성했다.
지난 2021년 이후 4년 만이자, 통산 10번째 리그 트로피(2009년·2011년·2014년·2015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5년)를 획득했다.
역대 두 번째로 파이널 라운드 진입 전 우승이라는 기록까지 달성했다.
사상 최초는 지난 2018년의 전북이다.
전북은 당시 32라운드에서 우승을 달성한 바 있는데, 전북은 이번 시즌 조기 우승을 통해 '역대 두 번째 파이널 라운드 진입 전 우승'을 이뤄냈다.
'명가' 전북은 지난 시즌 최악의 부진을 겪으면서 구단 사상 첫 승강 플레이오프(PO)까지 경험했다.
간신히 1부에서 살아남은 전북은 잉글랜드 프로축구 프리미어리그(EPL) 등을 경험한 '명장' 거스 포옛(우루과이) 감독에게 지휘봉을 맡겼다.
포옛 감독은 특유의 리더십으로 스타 군단 전북을 원팀으로 만들었고, 조기 우승을 통해 10번째 별을 획득했다.
또 포옛 감독은 구단 통산 3번째, K리그 통산 10번째로 데뷔 시즌 우승한 사령탑이 됐다.
앞서 함흥철(1983년·할렐루야), 장운수(1984년·부산), 이차만(1987년·부산), 비츠케이(1991년·부산), 차범근(2004년·수원), 빙가다(2010년·서울), 황선홍(2016년·서울), 조제 모라이스(2019년·전북), 김상식(2021년·전북) 감독이 데뷔 첫해 최상위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올 시즌을 끝으로 은퇴하는 베테랑 풀백 최철순은 K리그 개인 통산 우승을 10회로 늘렸다. 전북의 10회 우승을 모두 함께 한 유일한 선수다.
이날 경기서 팀 사상 역대 최단 경기 30만 관중 기록을 달성해 의미는 배가 됐다.
전북은 이날 경기 전까지 올 시즌 치른 16차례의 K리그1 홈 경기에서 29만3206명의 관중을 불러 모았다.
수원FC전에 2만1731명의 팬이 현장을 찾았고, 팀 역사상 최단 경기인 17경기 만에 30만 관중 고지(31만5105명)를 밟았다.
전북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 2015년 18번째 홈 경기에서 30만을 돌파한 데 이어, 7년 만에 새 기록을 작성했다.
전북은 시작과 동시에 선제골을 터트렸다.
전반 1분 김태환이 오른쪽 측면에서 올린 크로스를 박스 안에 있던 콤파뇨가 헤더로 마무리하며 승부의 균형을 깼다.
흐름을 탄 전북은 전반 26분 한 골 더 기록하는 듯했다.
박스 안 혼전 상황에서 이승우의 슈팅이 콤파뇨에게 맞고 수원FC 골망을 갈랐다.
그러나 주심은 VAR(비디오판독시스템)을 거쳐 콤파뇨의 핸드볼 파울이 있었다고 판단, 득점을 취소했다.
계속해서 상대 골문을 노리던 전북은 전반 32분 콤파뇨가 무릎 부상으로 교체되는 변수를 맞았다.
박스 안에서 상대 수비수 김태한과의 경합 과정에서 다쳐 고통을 호소했다.
팀 스태프의 부축을 받고 그라운드를 떠난 콤파뇨는 전반 34분 티아고와 교체됐다.
이후 수원FC는 동점골을 넣기 위해 분투했다.
외국인 공격수 루안, 싸박 등을 앞세워서 계속해서 전북 골문을 노렸지만 전북 수문장 송범근을 넘지 못했다.
전북은 후반 16분 쐐기골을 기록했다.
후반 11분 프리킥 상황에서 수원FC 김태한이 핸드볼 반칙을 범했다.
주심은 VAR을 거쳐 전북의 페널티킥을 선언했고, 키커로 나선 티아고가 오른발 슈팅으로 득점했다.
수원FC는 골대 불운까지 겹쳤다.
후반 31분 안현범이 박스 안에서 오른발 슈팅을 시도했으나 골대에 맞았다.
이후 상황에서 싸박이 시도한 오버헤드킥도 골키퍼에 잡혔다.
수원FC는 계속해서 득점을 노렸지만 전북은 실점하지 않았다.
오히려 추가 득점은 전북이 기록하는 듯했다.
후반 47분 감보아의 패스를 받은 티아고가 골키퍼 키를 넘기는 감각적인 슈팅으로 멀티골에 성공했으나, 주심은 이전 장면에서 반칙이 있었다고 판단하면서 득점을 인정하지 않았다.
그렇게 경기는 홈팀의 2-0 승리로 종료, 전북은 통산 10번째 리그 우승을 달성했다.
안양은 김천을 상대로 4-1 승리를 거뒀다.
12승6무15패(승점 42)를 거두고 리그 7위로 한 계단 올라섰다.
안양의 한가람이 경기 시작 47초 만에 선제골을 기록했다.
코너킥 상황에서 흐른 공을 페널티 박스 앞 오른발 중거리슛으로 마무리했다.
안양은 전반 32분 한 골 더 터트렸다.
오른쪽 측면에서 올라온 크로스를 문성우가 발리슛으로 마무리했다.
그러나 주심은 크로스 이전 장면에서 오프사이드가 있었다고 판단하면서 득점을 인정하지 않았다.
흔들릴 법도 했지만 문성우는 전반 38분 제대로 된 득점으로 두 팀의 간격을 두 골 차로 벌렸다.
최성범의 패스를 받은 그는 박스 안에서 오른발로 골을 기록했다.
안양은 후반 11분 추가 득점으로 승리에 쐐기를 박았다.
김동진이 올린 코너킥을 모따가 헤더로 마무리했다.
김천의 원기종이 후반 24분 한 골 만회했다.
그러나 후반 44분 모따가 멀티골을 달성, 경기는 안양의 3점 차 승리로 막을 내렸다.
울산문수경기장에선 신태용 감독과 결별한 울산 HD가 광주FC를 2-0으로 제압했다.
전반 20분 루빅손, 후반 추가시간 이청용이 연속골을 터트렸다.
8경기 만에 승리한 울산은 잔류 마지노선인 9위(승점 40)에 올랐고, 광주는 8위(승점 42)에 내려갔다.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선 포항 스틸러스가 FC서울에 2-1로 승리하며 기성용 더비에서 웃었다.
포항이 전반 28분 이호재, 후반 39분 주닝요의 득점으로 후반 21분 조영욱이 한 골을 만회한 서울을 눌렀다.
포항은 4위(승점 51), 서울은 5위(승점 45)에 자리했다.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선 대전하나시티즌이 제주SK를 3-1로 완파했다.
전반 31분 에르난데스, 추가시간 주앙 빅토르, 후반 5분 마사가 릴레이골을 터트렸다. 제주는 후반 36분 남태희가 한 골을 만회하는 데 그쳤다.
대전은 3위(승점 55), 제주는 강등권인 11위(승점 32)를 기록했다.
강원FC는 최하위 대구FC와 2-2로 비겼다.
강원은 6위(승점 44)로 파이널A 막차를 탔고, 대구는 최하위(승점 27)를 벗어나지 못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wlsduq123@newsis.com, knan90@newsis.com
관련자료
-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