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타르에서 울던 호날두, 2년 만에 “월드컵 중요하지 않다”로 자기 방어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토도사뉴스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5
본문

[OSEN=이인환 기자] 크리스티아누 호날두(40·알나스르)가 월드컵의 가치를 축소하는 발언을 남겼다. 정작 본인 또 한 번 논쟁의 중심에 섰다
호날두는 4일(한국시간) 영국 언론인 피어스 모건과의 인터뷰에서 자신의 커리어를 평가하는 기준에 대해 언급했다. 그는 “월드컵 우승이 나를 최고의 선수로 만들 수는 없다. 단 7경기로 선수의 모든 커리어가 정의될 수 있는가? 공평한 기준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표면적 의미는 “월드컵이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 없다”는 메시지지만, 시점은 의미심장하다. 리오넬 메시(38·인터 마이애미)가 2022년 카타르 월드컵 우승과 발롱도르 통산 8회 수상으로 ‘역대 최고’의 상징성을 완성한 뒤 나온 발언이기 때문이다. 축구계에서는 “메시가 월드컵으로 논쟁을 끝내자, 호날두가 기준을 바꾸기 시작했다”는 반응이 지배적이다.

실제로 호날두의 커리어는 월드컵을 제외하면 독보적이다. 발롱도르 5회, A매치 최다 출전(225경기), A매치 최다 득점(143골) 등 수치로만 보면 누구도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영역이다.
그러나 월드컵만큼은 그가 극복하지 못한 유일한 무대였다. 2006 독일 월드컵 4강이 최고 성적이며, 이후 대회에서는 16강‧8강에 머물렀다. 메시가 카타르에서 우승컵을 들어 올린 뒤 두 선수의 비교 기준은 극명하게 달라졌다.
특히 이번 발언이 논란이 된 이유는, 호날두가 과거 보여온 모습과 정면으로 대비되기 때문이다. 2022 카타르 월드컵 8강 탈락 직후, 그는 경기 종료 휘슬이 울리자 벤치에 잠시 멈춰 선 뒤 고개를 숙이고 터널로 향했다.

그 과정에서 눈물을 흘리는 장면이 생중계 화면과 현장 카메라에 포착됐다. 영국 ‘BBC’, ‘로이터’ 등은 “호날두의 마지막 월드컵이 끝났다”는 표현과 함께, 그가 월드컵에 가진 열망이 얼마나 컸는지 강조했다.
여기에 ‘벤치 논란’까지 있었다. 당시 페르난두 산투스 감독은 호날두를 선발에서 제외했고, 그는 조별리그 마지막 경기부터 교체 자원으로 밀려났다. 벤치에 앉은 카메라 앞에서 불만을 드러내는 표정, 포르투갈 언론과의 미묘한 신경전, 경기 후 침묵 행보까지 모두 “호날두가 월드컵을 어떻게 받아들였는가”를 보여주는 장면이었다.

그런 그가 2년 뒤 “월드컵이 기준일 필요는 없다”고 말하자, 팬들은 “그런 말을 할 수 있는 사람은 월드컵을 들어 올린 뒤여야 한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메시가 우승 후 “월드컵으로 모든 꿈을 이뤘다”고 말한 것과 대비되며, 설득력은 더 떨어졌다.
아이러니한 점은 또 있다. 2016년, 메시가 코파 아메리카 결승 패배 후 국가대표 은퇴를 선언했을 때, 호날두는 “대표팀은 최고의 영광이며, 다시 돌아와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조언했던 당사자다. 그러나 정작 지금은 대표팀 무대의 ‘최고 상징’이었던 월드컵을 스스로 축소하고 있다.
그럼에도 호날두는 월드컵을 완전히 내려놓은 것은 아니다. 그는 2026 북중미 월드컵 출전 의지를 밝히며, 오랜 연인 조지나 로드리게스와의 결혼식 일정도 “월드컵 이후”라고 못 박았다. “트로피를 들고 결혼식을 하고 싶다”는 그의 발언은, 앞선 “월드컵이 기준은 아니다”라는 주장과 묘하게 충돌한다.

결국 이번 발언은 “월드컵이 중요하지 않다”는 메시지가 아니라, “만약 자신이 우승하지 못하더라도 명성은 유지돼야 한다”는 태도의 연장선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축구계 한 평론가는 “기준이 불리해졌을 때 규칙을 바꾸려는 선수처럼 보일 수 있다”고 꼬집었다.
호날두는 여전히 살아 있는 전설이다. 그러나 선수의 위상보다 더 오래 남는 건 태도다. 그리고 지금 남는 질문은 하나다. 진짜로 호날두에게 월드컵이 중요하지 않았다면, 카타르에서 눈물을 흘릴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mcadoo@osen.co.kr
관련자료
-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