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뉴스

U-22 사실상 폐지, 한국 유일 ‘우려 내비친’ 정정용 감독 “별도 리그 없는 현실 어린 선수 성장 어려워질 수 있다” [이근승의 믹스트존]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토도사뉴스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8

본문

U-22(22세 이하) 제도가 K리그1에선 사실상 폐지됐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2026시즌부터 K리그1에선 U-22 선수의 출전 여부와 관계없이 경기 중 5명을 교체할 수 있게 했다. 연맹은 ‘출전 명단(총 20명)에 U-22 선수가 2명 이상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는 규정만 유지했다. U-22 선수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해서 교체 카드가 줄어드는 건 아니다. U-22 선수가 명단에 한 명밖에 없으면, 엔트리만 19명, 한 명도 없으면 엔트리는 18명으로 준다.

연맹이 해당 규정을 처음 도입했던 건 2013년이다. 당시 저연령 선수 의무 출전 제도를 도입하는 데 힘을 보탰던 이가 김천상무 정정용 감독이다. 정 감독이 대한축구협회(KFA) 전임 지도자로 있을 때였다.

김천상무 정정용 감독. 사진=이근승 기자
U-23 선수를 1명 이상 출전 명단에 포함하는 것으로 시작된 이 제도는 2019년부터 저연령 선수의 기준을 U-22로 바꾸었다.

해당 제도는 점점 강화됐다. 2021년부턴 U-22 선수가 2명 이상 선발 출전하거나 1명 선발 출전 후 1명 이상 교체 투입될 때 5명 교체 가능, U-22 선수가 1명 선발 출전하고 추가로 교체 투입이 없을 때 3명 교체 가능, U-22 선수가 선발 출전하지 않으면 2명 교체 가능으로 변화했었다.

연맹은 2024시즌부턴 교체 가능 인원을 늘리면서 U-22 규정을 다소 완화했었다.

축구계의 반발이 심했던 규정인 건 맞다.

프로의 세계에서 22세 이하란 이유 하나로 특혜를 준다고 볼 수 있었기 때문. 수많은 지도자, 선수가 이 제도에 불만을 드러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K리그1에서 이 제도가 사실상 폐지된 후 대다수 축구인은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단, U-22 제도가 한국 축구에 필요했던 이유와 긍정적인 영향은 꼭 한 번 짚어볼 필요가 있다.

U-22 제도로 더 많은 젊은 선수가 지도자의 눈에 들었던 건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많은 구단이 이 제도로 이전보다 유소년 육성에 관심을 기울이기도 했다.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을 시작으로 아시안게임 3연패, 2019 U-20 월드컵 준우승, 2023 U-20 월드컵 4강 등의 눈부신 성과 뒤엔 U-22 제도의 기여가 상당했다.

일찍이 군 복무를 마치고 유럽으로 나아간 오현규. 사진은 오현규의 김천상무 시절이다.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윤도영(사진 왼쪽)과 양민혁. U-22 제도가 없었다면, 이들이 고등학교도 졸업하기 전부터 한국프로축구 최상위 리그인 K리그1에서 출전 기회를 받을 수 있었을까. 윤도영은 현재 네덜란드 에레디비시, 양민혁은 잉글랜드 챔피언십에서 활약 중이다.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이영준의 김천상무 시절. 이영준은 일찍이 입대해 김천에서 꾸준한 출전 기회를 받았다. U-22 제도의 힘이 컸다. 사진=이근승 기자
어린 선수들의 프로 입성 시기가 빨라지면서, 유럽으로 나아가는 연령대도 상당히 낮아졌다.

오현규(24·KRC 헹크), 양민혁(19·포츠머스 FC), 윤도영(19·엑셀시오르 로테르담), 이영준(22·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등이 대표적이다.

정정용 감독은 한국에서 보기 드물게 K리그1에서 사실상 폐지된 U-22 제도에 우려를 표했다.

정정용 감독은 2019 U-20 월드컵에서 한국 남자 축구 역사상 최초 국제축구연맹(FIFA) 주관 대회 결승 진출을 이끌었고, 김천에선 국군체육부대 역사상 최초 2시즌 연속 K리그1 파이널 A에 진입하는 등 선수 육성에 있어선 한국 최고로 꼽히는 지도자다.

‘MK스포츠’가 정정용 감독에게 K리그1에서 사실상 폐지된 것이나 다름없는 U-22 제도에 대한 솔직한 생각을 물었다.

정정용 감독은 2019년 폴란드에서 열린 U-20 월드컵에서 한국의 준우승을 이끌었다. 한국 남자 축구가 FIFA 주관 대회 결승 무대를 밟은 건 이때가 유일하다. 정정용 감독은 2019년 한국 최고의 감독이었다. 사진=대한축구협회
Q. 내년부터 K리그에 큰 변화가 있다. 먼저, 외국인 선수 제도가 바뀌었다. 김천은 K리그에서 유일하게 외국인 선수를 활용할 수 없는 팀이긴 하지만, 이 제도 변화가 내년도 준비에 있어서 큰 고민이 될 듯한데.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ACL)에 나가는 팀들을 생각하면, 당연한 변화라고 본다. K리그가 국제무대에서 경쟁력을 발휘하려면 흐름에 맞춰갈 필요가 있다. 문제는 U-22 제도 변화다.

Q. 사실 정정용 감독과는 이 얘기가 하고 싶었다. U-22 제도, K리그1에선 폐지라고 본다.

이야기한 대로 K리그1에선 U-22 제도가 없어진 것이나 다름없다. U-22 선수의 출전 명단 포함 여부는 큰 의미가 없어졌다. K리그1에선 U-22 선수의 경기 출전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팀이 5장의 교체 카드를 활용할 수 있게 된 까닭이다. 내가 KFA에 있을 때 U-22 제도를 만들었던 사람 중 한 명이다.

Q. 연령별 대표팀 감독할 때인가.

그렇다. 나는 연령별 대표팀에서 지도자 생활을 오래 했다. 우리가 연령별 대회에선 좋은 성적을 내는데 그 세대의 많은 선수가 프로로 올라가면 소리 소문 없이 사라지는 일이 잦았다. 그때 가장 큰 고민이 20~22세 선수의 경기 감각이었다. 이 시기가 정말 중요하다. 꾸준히 경기에 나서면서 성장해야 할 시기인데 경기를 못 뛰는 거다. 우린 유럽처럼 20~22세 선수가 뛸 수 있는 별도의 리그가 없지 않나. 경기 감각을 유지하는 것조차 어려운 환경인 거다. 제아무리 뛰어난 재능도 경기에 나서지 못하면 꽃을 피울 수 없다.

김천상무 정정용 감독. 사진=이근승 기자
Q. U-22 제도를 만든 큰 이유 중 하나가 유독 성적에 목을 매야 하는 K리그 구조 속 지도자들의 눈길을 조금이라도 어린 선수들에게 주기 위한 것 아니었나.

그런 게 있었지. 일본 J리그는 내년부터 U-21 리그를 운영한다. 포스트 유스(19~21세) 연령대 선수 육성 및 강화를 목적으로 운영하는 거다. 우리도 U-21 리그가 창설되면, U-22 제도 같은 건 없어도 된다. 큰 걱정이 사라진다. 다만, 현실적으로 어렵지 않나. KFA에 있을 때 B팀 창설을 적극적으로 주장했었다. B팀이 K3, K4리그에 참여하는 것만으로 어린 선수 육성에 아주 큰 힘이 될 수 있는 까닭이다. 하지만, 우리 축구 현실상 모든 팀이 B팀을 운영하는 것도 쉽지 않다.

Q. U-22 제도의 단점이 없는 건 아니지만, U-22 제도로 오현규, 양민혁, 윤도영 등이 일찍이 기회를 받고 유럽으로 나아갔다고 본다. 연령별 대회에서의 꾸준한 성과 역시 U-22 제도가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보는데.

문제는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다는 거다. 과거로 돌아갔다. 잘 모르겠다. 개인적으론 어린 선수들이 U-22 제도가 있을 때만큼 기회를 받을 수 있을까 싶다. 예외는 있을 거다. 포항 스틸러스가 대표적이다. 포항은 시스템이 아주 잘 구축된 팀이다. 팀의 방향성 자체가 유소년, 젊은 선수의 성장에 초점을 맞춘다. 포항은 U-22 제도가 있든 없든 뛰어난 재능을 계속 만들어내고 뛰게 할 것이다. 문제는 ‘포항을 제외하고, 어린 선수를 잘 육성하고 활용하는 팀이 어디 있느냐’고 물어봤을 때 쉽게 답을 할 수 없다는 거다.

K리그에선 환경이 열악한 시도민구단조차 당장 성적을 내지 못하면 안 된다. 유소년에 신경 쓸 자본도 여유도 없다는 거다. 이젠 유소년에 투자할 적은 자본과 시간마저 눈앞의 성적을 내는 데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이해는 된다. 지도자는 성적을 내지 못하면, 일자리를 잃게 된다. 감독도 축구인이기 전에 한 집안의 가장 아닌가. 오직 한국 축구의 발전만을 위하라는 건 현실적이지 못하다. 참 어려운 문제다. 나도 U-22 제도가 특이한 제도란 것은 부정하지 않는다.

Q. 무슨 뜻인가.

U-22 제도가 많은 분이 지적하듯이 프로의 세계에선 이해가 안 되는 제도이기도 하다. 프로의 세계에서 22세 이하 선수에게 특혜를 주는 것이나 다름없는 제도가 맞지 않나. 세계에서 U-22 제도를 두고 있는 건 한국이 유일하기도 하다. 다만, 앞서서도 말했지만 K리그의 특성과 현실상 이 제도라도 두지 않으면 어린 선수들의 성장을 꾀할 수 없기에 만들었던 거다. 모든 구단이 포항처럼 장기적인 계획과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면 걱정이 없겠지만 그게 아니지 않나. 처음 U-22 제도를 만들 때 제일 많이 들었던 소리가 무엇인지 아나.

김천상무 정정용 감독.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Q. 무엇인가.

‘U-22 제도 만든다고 해서 프로의 세계에서 경쟁이 되겠느냐’는 거였다. 우리 축구 역사를 돌아보면, 고등학교 졸업 후 프로에 와서 자리 잡은 사례는 매우 드물다. 최문식을 시작으로 이청용, 기성용 등이 있지만, 몇 안 된다. 정말 드문 사례다. U-22 제도 효과가 미미했던 구단들이 있다. 하지만, U-22 제도를 통해 큰 성장을 이룬 선수도 많다. U-22 제도로 유소년에 더 신경 쓰고 젊은 선수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준 구단들도 있다. 이는 한국 축구 발전에 큰 도움이 됐다고 본다.

Q. 요즘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나 독일 분데스리가 등 유럽 빅리그를 보면, 10대 선수들의 활약이 돋보인다. 특히, 10대 선수가 기회를 많이 받는다. 한국에서 유럽으로 나아가는 연령대도 10대가 확실히 늘어나고 있다.

KFA에서 전임 지도자 할 때 유럽을 정말 많이 다녔다. 유럽 빅클럽일수록 선수의 재능을 빨리 파악한다. 10대 선수가 경쟁력을 보이면, 확실하게 밀어준다. 한국은 그게 어렵다. 앞서서도 말했지만, 매 경기 결과에 따라서 지도자의 목이 날아갈 수도 있지 않나. 지도자의 입장도 이해가 된다. 그러면서도 한국 축구의 미래가 걱정되기도 한다. 내가 서울 이랜드에서 나와서 경일대학교를 이끌지 않았었나. 대학에선 U-22 제도에 대한 불만이 상당했다.

Q. 축구계에서 그와 관련된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 KFA 회장 선거 때도 대학 감독들이 가장 큰 목소리를 냈던 게 U-22 제도 폐지 아니었나.

나는 대학에 있을 때도 U-22 폐지를 반대했다. 한국 축구가 발전하려면 프로가 잘 돼야 하는 것 아닌가. 어린 재능들이 프로에서 빛을 봐야 한국 축구가 발전할 수 있는 거다. 대학 지도자들의 입장과 사정도 이해하지만, 우리 축구가 발전하려면 경쟁력을 갖춰야 하는 건 프로다. 이건 세계 어딜 가든 똑같다.

정정용 감독은 대표적인 학구파 지도자다. 사진=대한축구협회
Q. U-22 제도가 있어서 어린 선수들의 김천 지원이 늘어나지 않았었나. 내년부턴 어떻게 되는 건가.

부대에서 이야기가 나왔다. K리그1에선 U-22 제도가 없어지긴 하지만, 나는 계속해서 U-22 선수를 뽑고 싶다. 부대에 그렇게 이야기했다. 김천은 좋은 성적을 내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군 복무 중인 선수들을 한 단계 성장시키는 것도 정말 중요하다. 김천은 한국 축구 발전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는 팀이다. 나는 그 사명감과 책임감을 갖고 김천을 맡고 있다. 어린 선수들을 계속해서 뽑고, 훈련장에서 좋은 모습을 보이는 어린 선수에게 계속 기회를 주고 싶다.

[이근승 MK스포츠 기자]

[ⓒ MK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원문: 바로가기 (Daum)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프리미엄 광고 ⭐
PREMIUM 초고속티비
PREMIUM 붐붐의민족
PREMIUM 픽인사이드
PREMIUM 먹튀데이
PREMIUM 꽁데이
유료 광고
Total 21,932 / 2 Page
번호
제목
이름
Member Ra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