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츠 고집 꺾일까? 'ERA 9.00' 필승조 또 와르르, 25세 무명 투수는 급부상…향후 불펜 운용에 변수 되나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토도사뉴스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6
본문

[SPORTALKOREA] 한휘 기자= 블레이크 트라이넨(LA 다저스)을 향한 데이브 로버츠 감독의 신뢰에 변화가 일어날까.
트라이넨은 28일(이하 한국시각)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다저 스타디움에서 열린 토론토 블루제이스와의 2025 메이저리그(MLB) 월드 시리즈 3차전에 등판했으나 ⅓이닝 3피안타 1실점으로 부진했다.

트라이넨은 두 팀이 4-4로 팽팽히 맞서던 7회 초 마운드에 올랐다. 좌완 저스틴 로블레스키가 2아웃까지 잘 잡아낸 가운데, 상대 중심 타선을 지키는 오른손 타자들을 상대하기 위해 로버츠 감독은 트라이넨을 선택했다.
'대실패'였다. 트라이넨은 블라디미르 게레로 주니어에게 안타를 맞더니, 보 비솃에게 우익수 오른쪽으로 깊숙이 굴러가는 안타를 맞았다. 게레로 주니어가 3루를 돌아 과감하게 홈까지 파고들었다. 공 10개 만에 실점하며 다저스가 끌려갔다.
그나마 추가 실점은 막았고, 오타니 쇼헤이가 7회 말 세란토니 도밍게스를 상대로 동점 홈런을 때려내며 패전 투수가 되진 않았다. 하지만 트라이넨의 실점이 실로 어마어마한 '나비효과'가 됐다. 경기가 무려 연장 18회까지 진행된 것. 다저스가 기어코 6-5로 이겼음에도 불펜 고민을 완전히 떨쳐낼 수는 없게 됐다.

트라이넨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시절이던 2018년 아메리칸리그(AL) 최고의 마무리 투수로 군림했던 선수다. 하지만 부상과 부진으로 급격한 하락세를 겪으며 2019시즌 후 오클랜드와의 동행을 마쳤다.
다저스에 합류한 뒤 기량을 가다듬었고, 2021시즌 화려하게 부활했다. 2022시즌 부상으로 고전한 이래 거의 2년 가까이 공백기를 가졌지만, 지난해 36세의 나이에도 건재함을 과시하며 다저스의 월드 시리즈 우승에 큰 힘을 보탰다.
그런데 올해는 사정이 다르다. 부상으로 정규시즌 32경기 26⅔이닝을 소화하는 데 그쳤다. 그런데 성적도 별로다. 2승 7패 2세이브 10홀드 평균자책점 5.40으로 부진했다. 나이는 어쩔 수 없는지 급격한 하락세에 시달렸다.
그나마 준수했던 8월과 달리 9월에는 월간 평균자책점이 9.64로 폭등했다. 포스트시즌 들어서도 이 경기 전까지 7경기에서 평균자책점 7.36(3⅔이닝 3실점)에 출루를 7번이나 허용할 정도로 불안했고, 결국 토론토를 상대로 그 문제가 터진 것이다.


이날 실점으로 트라이넨의 올해 포스트시즌 평균자책점은 9.00으로 올랐다. 그렇다면 로버츠 감독은 대체 왜 이런 트라이넨을 계속해서 중요한 상황에 기용하는 걸까.
다저스의 불펜진이 빈약한 것이 문제다. 특히 우완은 심각하다. 에반 필립스와 브루스더 그라테롤이 장기 부상으로 나란히 이탈했고, 기껏 데려온 베테랑 커비 예이츠도 부진하며 팀에 전혀 도움이 안 됐다.
여기에 포스트시즌 직전에 마이클 코펙이 부상을 입은 것이 '치명타'였다. 그나마 사사키 로키가 마무리 투수로 이동해 선전하고 있지만, 사사키의 앞을 막을 우완 불펜 요원이 턱없이 부족하다. '울며 겨자먹기'로 트라이넨을 믿어야 한다.

하지만 이번 경기가 '변곡점'이 될 수 있다. 그간 로버츠 감독이 욕을 먹어가며 불펜으로 경험치를 쌓게 한 에밋 시핸이 이날 투구 내용은 불안했으나 2⅔이닝 무실점으로 가능성을 보였다. 여기에 로스터 '말석'으로 간신히 승선한 윌 클라인의 4이닝 무실점 쾌투도 빛났다.
물론 공을 많이 던진 만큼 4차전에 이 둘을 바로 내세우긴 무리가 있다. 하지만 시리즈가 길어지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굳이 트라이넨에 집착할 필요가 없다.
과연 남은 경기들에서 트라이넨은 어떤 방식으로 기용될까. 로버츠 감독은 그를 향한 '어쩔 수 없는' 신뢰를 거둬들이게 될까. 향후 다저스의 투수 운용에도 눈길이 간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관련자료
-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