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승승승승승승승승승승승승승승승승승승' 125년 역사상 2위, 이래서 김병현 극찬 받았다…MLB 최강팀 이끄는 '역대급 승리 요정'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토도사뉴스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2
본문
[SPORTALKOREA] 한휘 기자= 밀워키 브루어스가 올해 메이저리그(MLB) 최강팀이 된 데는 이 '승리 요정'의 공도 빼놓을 수 없다.
밀워키 퀸 프리스터는 19일(이하 한국시각) 미국 위스콘신주 밀워키의 아메리칸 패밀리 필드에서 열린 2025 메이저리그(MLB) 정규시즌 LA 에인절스와의 홈 경기에 선발 등판해 5⅔이닝 3피안타(1피홈런) 2볼넷 10탈삼진 2실점을 기록했다.
위력적인 투구를 펼쳤다. 2회부터 여섯 타자를 연달아 삼진으로 깔끔하게 돌려세우는 기염을 토했다. 3회에도 1사 후 두 타자를 삼진으로 잡아내며 타순 첫 바퀴째에서 만난 9명 중 8명을 상대로 삼진을 뽑아냈다.
4회에도 삼자범퇴를 기록하며 '퍼펙트' 행진이 이어졌지만, 5회부터 균열이 났다. 조 아델을 볼넷으로 내보내더니 루이스 렌히포에게 투런포(9호)를 맞으며 퍼펙트와 노히터, 무실점이 단 두 타석 만에 전부 깨졌다.
그나마 5회는 볼넷 하나만 더 주고 잘 막았지만, 6회 1사 후 안타 2개를 연달아 맞으며 위기에 몰렸다. 아델을 중견수 뜬공으로 잡았으나 밀워키 벤치는 렌히포 타석에서 투수 교체를 택했다. 프리스터의 임무는 여기까지였다.
구원 등판한 애런 애슈비가 렌히포를 삼진으로 잡고 추가 실점을 막았다. 하지만 프리스터는 1-2로 밀리던 상황에서 마운드를 내려가면서 호투하고도 패전 위기에 몰렸다. 그런데 프리스터의 '승리 DNA'가 발휘된 걸까, 6회 말 동점을 만든 밀워키는 7회에만 3점을 몰아치며 5-2 역전승을 거뒀다.
이미 포스트시즌 진출을 확정한 밀워키는 이번 승리로 시즌 94승(59패)째를 올렸다. 승률 1위 수성 가능성이 커진 것은 물론이고 구단 창단이래 첫 100승 시즌에 조금씩 가까워지고 있다.
프리스터의 공을 빼놓을 수 없다. 프리스터는 '특급 유망주'라는 기대 속에 2023년 MLB에 데뷔했으나 2시즌 통산 21경기(15선발) 6승 9패 평균자책점 6.23(99⅔이닝 73실점 69자책점)으로 부진했다. 피츠버그 파이리츠와 브스턴 레드삭스 두 팀에서 자리를 잡지 못했다.
그런데 올해 밀워키에서 잠재력이 만개하기 시작했다. 선발 투수와 '벌크 가이'(오프너 뒤에 출격하는 롱 릴리버)를 오가던 프리스터는 시즌 중반부터 로테이션에 정착했다. 그리고 28경기(23선발) 152⅓이닝 13승 2패 평균자책점 3.25로 최고의 한 해를 보낸다.
포심 패스트볼을 포기하고 체인지업을 줄였다. 대신 싱커 비중을 키우고 커터를 장착해 범타 유도에 집중했다. 땅볼 비율이 57.2%에 달해 100이닝 이상 던진 모든 투수 가운데 5번째로 높으며, 이를 바탕으로 성과를 낸다.
심지어 지난해까지 한 번도 한 경기에서 두 자릿수 탈삼진을 따낸 적이 없었는데, 올해는 이번 경기까지 벌써 3번이나 달성했다. 구위 측면에서 확연한 '스텝업'을 일궈냈다.
지난 7월 19일 LA 다저스전에서는 당시 객원 해설위원으로 나온 '전직 빅리거' 김병현으로부터 "강약 조절을 잘 해서 던진다. 싱커 등의 볼 끝 무브먼트도 좋다"라며 "원하는 곳에 던질 줄 안다. 소위 '싸울 줄 아는 투수다. '팔색조' 조계현 선배가 연상된다"라는 극찬도 들었다.
아울러 프리스터는 올해 밀워키의 '승리 요정'으로도 활약 중이다. 프리스터가 등판한 28경기에서 밀워키는 21승 7패(승률 0.750)를 기록했다. 특히 지난 5월 31일 필라델피아 필리스전을 기점으로 프리스터가 나온 19경기에서 밀워키는 한 번도 지지 않았다.
특정 투수 등판 경기에서 팀이 19연승을 기록한 것은 MLB 역대 2위에 달하는 기록이다. 만약 1승을 더하면 2001년 로저 클레멘스(당시 뉴욕 양키스)와 함께 최고 타이기록을 작성하게 된다. '역대급 승리 요정'과 함께 하는 밀워키의 올해 가을 행보에도 주목해 보자.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관련자료
-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