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시드폴, '유희열 지원' 속 무려 정규 11집…"안테나 직원 투표로 타이틀곡 결정" (인터뷰)[종합]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토도사연예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6
본문

(엑스포츠뉴스 조혜진 기자) 싱어송라이터 루시드폴(Lucid Fall)이 꾸준히 정규 앨범을 내는 동력과 함께, 타이틀곡 결정과 앨범, 자신의 음악 전반에 걸친 이야기를 솔직하게 말했다.
루시드폴이 정규 11집 '또 다른 곳' 발매를 기념해 7일 오후 서울시 강남구 안테나 사옥에서 라운드 인터뷰를 진행, 앨범과 활동에 대한 솔직한 이야기들을 들려줬다.
루시드폴의 새 정규 '또 다른 곳'은 루시드폴이 지난 2022년 11월 발매한 '목소리와 기타' 이후 약 3년 만에 선보이는 정규 앨범이다. 루시드폴은 작사와 작곡은 물론, 편곡과 믹스, 그리고 바이닐 마스터링까지 직접 담당했다.
정성을 담은 정규앨범으로 3년 만에 돌아온 그는 "오면서 음반을 쭉 들었다"며 "오늘 아침에도 샤워를 하면서 평소보다 좀 천천히 씻었다. 구석구석 닦으면서 손도, 목도 '수고 많았다' 했다. 그 외에는 담담한 편이다"라고 소회를 밝혔다. 이내 그는 "두렵기도 하다. 다른 분들에겐 어떻게 들릴까 가늠할 수가 없다. 한편으로는 누군가에겐 이 노래가 닿아 잘 이어지겠지하는 기대감도 있고 복잡하다"고 솔직한 감정을 전했다.
무려 '정규 11집'인 점도 눈길을 끈다. 루시드폴은 "싱글 단위, 유튜브로 음악 듣는 시기에 왜 굳이 앨범을 하냐는 이야기 많이 들었다"며 "제가 음악을 시작할 때 기본 포맷이 앨범이라 가장 익숙해서 그러는 것도 있다. 곡이 많은 앨범을 내면 돈이 더 많이 들어가는데, 경제적인 걸 떠나 한 사람의 뮤지션으로서 '이런 것도 들려드리고 싶다', '이런 스타일 음악도 해봤다' 보여드려야 한다. 그럼 앨범이라는 포맷을 버릴 수가 없다"고 이야기했다.

여러 스타일의 음악을 들려주면서 꾸준히 정규앨범을 발매할 수 있는 힘으로 그는 "(소속사) 안테나의 전폭적 지원"을 꼽았다. 그는 소속사 수장인 "유희열 씨의 전폭적 믿음이 있다"면서 "경제적인 관점에선 '그냥 싱글 내지' 이런 이야기를 할 법도 한데, 아직 안테나는 음악을 그렇게 바라보진 않는다. 그런 중심에 희열이 형이 있기 때문이다. 아티스트가 하는 걸 지원해주는 역할을 하신다"고 말했다.
정규를 내는 또 다른 이유도 있다. 들려주고 싶은 것도 많고, 이를 기록하고 싶기 때문이다. 루시드폴은 "저에게는 기록이고 뮤지션으로서 걸어가는 발자국 같은 것"이라며 "저는 2, 3년에 한 번 정규 내는 사람이니까 그간의 나란 사람의 기록을 싱글이나 EP로 담기는 어렵더라. 음악적이든 음악 외적인 거든 들려드리고 싶은 것도 많다. 그 사이 느낀 것도 많다. 그래서 앨범을 냈다"고 이야기했다.
2, 3년 마다 정규앨범을 꾸준히 내기란 결코 쉽지 않은일. 원동력으로 그는 "음악을 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혼자만의 다짐 같은 게 있었다. '나는 음반을 꾸준히 내면서 살고 싶다' 했다. 은행다니는 분들은 매일 은행 출근하고, 커피 뽑는 제 친구는 새벽부터 나가 사람들을 맞고 그런 것처럼 그게 그냥 각자의 일이지 않나. 나도 음악을 그렇게 하는 건 너무 당연하다"고 담담히 말했다.

정규 11집의 타이틀곡은 '꽃이 된 사람'으로, 누구나 쉽게 공감하고,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심플한 구성의 사랑 노래다. 사랑의 본질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가사가 반복되며, 사랑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을 유도한다.
꽃이 된 사람이 타이틀곡이 된 이유는 안테나 직원들의 압도적인 투표가 있었기 때문. 그는 "녹음을 다 끝내고 나면 회사에 넘기고 '타이틀곡하나 찍어주세요' 한다. 조금이라도 객관적으로 듣는 분들이 판단해주셔야지, 제가 판단하는 게 옳지 않더라. 안테나 전체 사원분들에게 투표하면 좋겠다 해서 이 곡과 또 하나의 곡으로 여쭤봤으면 했다. 40분 중에 32분이 꽃이 된 사람을 투표했다"고 비화를 들려줬다.
어떤 곡이 타이틀이 돼도 된다는 자신감이 있었던 건지 묻자 루시드폴은 "'또 다른 곳'이라는 앨범 타이틀은 있지만, 타이틀이 9곡을 묶는 주제는 아니다. 지금의 나에게 있어서 큰 화두가 음악화된 결과물"이라며 "지금의 나를 설명하는 키워드이기도 하고 크게 아우르는 건 있지만 콘셉트 앨범처럼 짜여 있진 않다. 그래서 앨범에 있는 어떤 곡이 됐든 타이틀곡은 상관이 없었다"고 부연했다.
또 루시드폴은 "뮤지션은 가장 내가 돋보일 것 같은, 자신 있고, 뽐내고 싶은 곡들이 있다. 근데 그게 대중에게 아무 의미가 없다"면서 "우린 음악하는 사람인데 그냥 음악을 듣는 분들은 분석해서 듣지 않는다"고 냉철하게 말했다.

대중을 염두에 두고 작업하는 것 같다는 말에 루시드폴은 "음악 작업하며 대중 의식하기가 쉽지 않다. 대중은 실체가 없다. 저란 사람은 음악을 업으로 하는 사람이다 보니까, 어떻게 보면 고립돼 있다"고 했다.
그는 "내가 음악을 어떻게 만들면 대중이 좋아할까 고민을 안 해본 건 아닌데 소용이 없더라. 최대한 내가 하고 싶은 대로 일단 만들자 했다. 그게 가장 솔직하니까"라며 "다 만들고 나서 이 중에 가장 사람들에게 소구할 수 있는 곡은 객관적 판단 할 수 있는 분들께 맡기자 결정을 한 거다. 그러다 보니 어떤 앨범은 전곡이 다 대중이 안 좋아할 수 도 있다. 그런 앨범 많다. 제가 책임져야할 부분"이라고 덧붙이며 웃었다.
루시드폴이 생각하는 '좋은 음악'의 정의도 밝혔다. 그는 "심플하게는 또 듣고 싶은 음악이 가장 좋은 음악이라고 생각한다. 노래 중간쯤 되면 벌써 아쉬운 노래가 있다. 딥한 버전은 내 주변의 시공간을 변화시키는 음악이다. 길을 다니면서 듣거나 창문을 바라보면서 들을 때, 음악을 듣기 전과 후 주변의 공기가 달라졌다고 느낄 때가 많다"고 생각을 전했다.
루시드폴의 음악은 자신이 생각하는 '좋은 음악'과 어느정도 맞닿아있을까. 그는 "누군가에겐 아무 의미 없는 음악이 될 수 있고, 누군가에겐 눈물이 펑펑나게 할 수도 있고 개인적 차원의 이야기"라며 "제 음악을 듣고 그런 경험 하는 분들이 많을수록 좋겠다"는 바람을 밝혔다.
한편, 루시드폴의 새 정규 앨범 '또 다른 곳'은 이날 오후 6시 발매된다. 오는 28일부터 30일까지 3일간은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ECC 영산극장에서 단독 공연 '2025 루시드폴 11집 발매 공연 '또 다른 곳''을 개최하고 관객과 만난다.
사진=안테나
조혜진 기자 jinhyejo@xportsnews.com
관련자료
-
링크







